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은 과연 옳았는가
과학동아
l
198604
은하계 중심에 있는 별의 적외선 흡수 현상에서 관찰된 움직임과 비교하면서 미생물
학과
천문학 사이에 무척 긴밀한 일치점이 있음도 발견했다. 따라서 은하계에도 박테리아가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생겼다. 이 확신은 나와 프레드 호일경의 입장에서 보면 연구실 자료와 천문학적 관찰과의 비교를 ... ...
우리나라 해양발전의 내일을 연다 한국해양연구소
과학동아
l
198603
"인력수급문제도 잘 풀려가고 있읍니다. 현재 서울대학을 비롯한 9개대학에 해양관계
학과
가 있어 1년에 약 5백명이 배출되고 있으며 해외파견 고급인력양성도 순조로운 편입니다" 허박사의 낙관론이다. 한참 설명을 듣고 있으니 우리나라 해양과학분야의 눈부신 발전이 바로 눈앞에 보이는 듯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03
후기 홍적세(약10만년 전)때 사람으로 추정되는 이 인골은 현재 미국의 비클리대학 인류
학과
교수팀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어 금년내에 그 자세한 내용이 밝혀질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전한 형태의 구석기시대 인골이 발굴된 것은 처음이어서 ... ...
컴퓨터와 교육 컴퓨터 선생님은 훌륭하다
과학동아
l
198603
이 시스템이 다루고 있는 교과목은 영어, 수학, 천문학, 경제학 등 30여개
학과
목에 이른다. 게임에서 모의실험까지CAI용 C/W에 의한 학습방법의 기능별 유형은 보통 5가지 유형으로 나뉜다.(이제부터 드는 예는 모두 PLATO 시스템의 경우이다.) 개인지도형(Tutorial)의 한 예를 들어보자.(그림 1) 고등학교 ... ...
한국의 여성과학자들 기지개 켜고 일어서는 중
과학동아
l
198603
키가 10㎝만 컸어도 그 방면에서 대성했을 정도. 하지만 공부도 소홀히 하지 않았고 수
학과
과학을 좋아했단다. "특히 화학에 남다른 재미를 느꼈어요. 결국 집안의 조언도 있고 해서 화학자로의 길을 택했지요. 과학적 적성을 찾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 ...
엔지니어 푸대접은 이제 옛말
과학동아
l
198602
강영택사장은 서울대 기계과 출신이며 (주)삼미의 이경영부사장은 서울대 자원공
학과
와 고려대 경영대학원을 거쳤다. 특수강의 이욱진전무는 한양대 건축과, 금강의 김무술상무는 부산대 기계과, 특수강의 김현종상무(한대·공업경제학) 김관섭상무(인하공대·기계)심재완상무(한대·원자력) ... ...
작을수록 위대하다
과학동아
l
198602
손톱크기의 '마법의 돌'에서 전개되는 엄청난 논리와 그 과정을 살펴본다 컴퓨터의 활용분야는 이제 모든 곳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가깝게는 우리에게 매달 배달되는 세금 고지서로 부터 멀게는 우주개발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어 이제는 현사회에서 필수적인 기계의 하나로 등장케 되었 ... ...
유치된 해외 과학 두뇌 제 몫을 하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01
가운데 한 사람이다.그는 1971년 서울공대 전기공
학과
를 졸업하고 바로 도미, 버클리대
학과
미시간대학에서 각각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주제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집적회로. 4K D램의 개발부터 시작하여 16K-64K-256K 그리고 현재 열중하고 있는 1M D램의 개발까지 집적회로 외에 한눈을 판 적이 ... ...
지진·화산폭발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8601
약권을 구성하는 광물 일부가 녹아 암판들의 수평이동을 가능케한다. 서울대학교 지질
학과
이 기화교수는 "대체로 암판들은 견고하여 그 내부에서 습곡이나 단층 등의 지각변동이 일어나지 않으나 판들의 경계에서는 인접한 판의 상대운동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다. 약권의 일부 녹아버린 물질이 ... ...
첫 신입생 뽑은 한국과학기술대학(KIT)
과학동아
l
198601
하면서 '여기에 미래의 한국이 있구나' 하는 뿌듯함을 느끼는 동시에 '과
학과
인간' '과
학과
사회'라는 불균형개념으로 과학을 재평가하는 요즘의 추세도 머리에 떠 올랐다. 어느 학자의 말이 생각났다. "과학자는 증거로써 주장한다. 그래서 표면적으로는 설득력있게 보인다. 그러나 레이맨(문외한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