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9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겨뤄보자! 로봇들의 설원 질주
동아사이언스
l
2018.02.12
출전하는 로봇의 스키 실력은 어떨까. 11일 오후 열린 출발 순서 결정전에서 1위를 한 로봇
융합
연구원(로봇연)의 스키로봇 스키로는 이날 기문 4개를 통과하고 하나를 놓쳤다. 시간은 26.4초. 지난 사흘간 최종 연습 과정에서 로봇들의 최고기록은 16.9초 정도였다. 대한스키지도자연맹에서 발급한 ... ...
“우리에게 평화를” 시리아 예술가의 디지털 렌더링 작품들
팝뉴스
l
2018.02.10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그는 폐허가 된 시리아의 풍경과 현대 예술 작품들을 하나로
융합
하는 디지털 렌더링 작품들을 선보여 주목 받았다. 아잠은 고야, 고흐, 고갱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 일부와 시리아 실사 사진을 하나로 만든다. 아잠의 작품들은 예술가들이 표현한 사랑과 ... ...
[테마영화] ‘블랙 팬서’ 개봉 앞둔 마블영화 BEST 3
2018.02.10
마블 영화의 세계관을 구축한 첫 작품이 바로 ‘아이언맨’이다. 21세기의 첨단 기술과
융합
해 작은 만화책 속에서 스크린으로 걸어 나온 ‘아이언맨’은 관객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아이언맨’은 등장과 함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원대한 가능성을 열어젖히며 ... ...
[영재교육원 탐방] 내 안에 있는 영재성을 찾는 곳, KAIST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8.02.06
만들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학도 단순 수학이 아니라 다른 분야와
융합
된 콘텐츠를 만들려 한다. 학기 중 주말이나 방학 때는 직접 와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오프라인 캠프도 여럿 운영한다. 기자가 방문한 날에는 LG-KAIST 영어과학캠프와 제19회 LG생활과학아이디어공모전 ... ...
[출동!기자단] 콜록콜록~, 미세먼지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1.29
가장 먼저 물질구조제어연구센 터로 향했어요. 연구실을 둘러보기에 앞서 하헌 필 미래
융합
기술연구본부 본부장님이 친구들에 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몸에 들어오면 건 강을 해치지요 ... ...
중국, 세계 첫 영장류 복제 성공…신약 개발·뇌 연구 앞당길 듯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변형을 억제해 준다. 연구진은 핵을 제거한 난자에 원숭이 태아의 피부세포를
융합
해 수정란을 얻은 뒤, 21마리의 대리모 원숭이에게 평균 3~4개씩 총 79개를 이식했다. 그 결과, 21마리 중 6마리의 자궁에 수정란이 착상했고 이 중 4개의 수정란에서 원숭이 태아가 자랐다. 최종적으로는 중중과 화화 ... ...
식품용기 속에 낀 ‘세균 때’ 플라스마로 없애 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 최원호 KAIST 교수 - 국가핵
융합
연구소 제공 미생물막은 세균이 당 등 고분자 물질과 엉겨 막 형태로 굳은 것으로 식재료는 물론 페트병 등 식품 용기 내부나 상하수도관 내벽에도 생길 수 있다. 치아 플라그도 대표적인 미생물막이다. ... ...
치매 치료제, 침체 딛고 일어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1.19
위해 어쩔 수 없이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박기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치매DTC
융합
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연간 억 단위의 돈이 들고 기간도 오래 걸려 결코 쉽지 않지만 효과 좋고 부작용 없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실제 치매 동물로 실험을 한다”고 말했다. 박 책임연구원의 말대로 치매 ... ...
담요만 덮어도 도울 수 있어요! 야생동물 크라우드 펀딩 화제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일러스트만 그리는 것이라 아니라 다른 분야와
융합
돼 멋진 결과를 내놓을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람과 야생동물이 만났을 때 결과는 대부분 좋지 않아요. 유해 조수나 전염병 매개체로 취급되지 않으면 다행이지요. 하지만 함께 ... ...
생체 조직 3차원으로 빠르게 관찰하는 현미경 국내 기술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GIST)은 권혁상
융합
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팀이 생체를 빠르게 촬영한 뒤 3차원 영상으로 복원해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현미경은 기사내용과 관계없음. - GIB 제공 현재 세포나 미세한 생체 조직을 관찰할 때에는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주로 쓴다.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