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융합"(으)로 총 3,9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준연, 백년의 난제 ‘플라스마 히스테리시스’ 현상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8.04.12
- 준중성이며,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특징을 가졌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핵융합 구성장치, 우주선 추진체, 의료진단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들어가는 소자 생산 공정에 널리 쓰인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세정이나 증착에 필요한 플라스마 공정장비는 수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의 ... ...
- ETRI, 낮시간 무선 양자통신 국내 최장거리 전송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전송 연구, 보다 효율적인 암호생성기 개발을 비롯해 현재 사용하는 광통신 체계와의 융합 가능성 등의 연구가 진전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유선 양자암호통신 분야에선 한국을 포함해 유럽과 미국, 중국 등이 약 100~150km 떨어진 지점에서 정보를 온전히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다. ... ...
- “스마트팜에서는 언제나 봄” IT로 토마토, 인삼 열매 익어가동아사이언스 l2018.04.06
- 데이터를 생산해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추천해 준다. 스마트팜 솔루션 융합연구단 내에 있는 식물공장 ‘스마트유팜(Smart U-FARM)’. 화장품 원료로 쓰기 위한 인삼 열매 재배법을 연구 중이다. - 이혜림 기자 연구단에서는 햇빛 등 최소한의 외부 환경마저 완벽히 차단해 운영하는 ... ...
- 세계 과학자들 KAIST에 “AI 킬러로봇 개발 중단하라” 해프닝동아사이언스 l2018.04.05
-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공동성명을 철회하겠다는 언급은 없었다. 김정호 KAIST 국방AI융합연구센터장(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은 “앞으로도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해 공동성명에 참여한 연구자들과의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방위 산업까지 AI가 접목되면서 인간의 안전을 위협하는 AI에 ... ...
- 동아사이언스-이투스교육, 고교생 과학 콘텐츠 제휴 동아사이언스 l2018.04.05
- 됐다”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거듭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장경애 동아사이언스 대표는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사회 변화는 문·이과에 관계없이 과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필요로 하고 ... ...
-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05
- 생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승용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정현 광운대 전자융합공학과 공동 연구팀은 인체 전반의 체온과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피부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는 배터리가 필요 없고,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해 기존 피부 센서보다 작고 얇다. 이 센서는 두께가 ... ...
- “혁신 신소재를 찾아라”… 주목받는 ‘극한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8.03.30
- 있다. 해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만큼 잰걸음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근우 융합물성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국내 극한연구는 해외 선진국의 1차 연구 성과를 가져와 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독자적 연구 역량 확보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 ...
- 헤파필터 비효율 극복, 나노섬유 미세먼지 필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3.29
-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과 전남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공동 연구팀은 입자 지름 2.5㎛(마이크로미터)의 초미세먼지를 95% 걸러내는 나노섬유 기반 미세먼지 포집 필터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존 헤파필터는 직경 수십㎛ 크기의 섬유로 만들어졌다. 이에 ... ...
- 포브스誌 선정 ‘아시아의 영향력 있는 30세 미만 30인’ 국내 연구자들동아사이언스 l2018.03.28
- 졸업하고 MIT 재료공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15년 7월 KIST 스핀융합연구단에 합류했다. 우 연구원은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 앞으로도 초저전력·초고속 스핀전자소자의 실용화를 위해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함께 선정된 전 교수는 ... ...
- 스마트팜에선 암 이기는 기능성 쌈채소가 쑥쑥동아사이언스 l2018.03.21
- 이전해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노주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마트팜솔루션융합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인공 LED 조명과 배양액을 이용하는 실내형 식물공장 (스마트팜)을 개발했다. 이 안에서 배양 조건을 바꿔가며 케일을 키운 결과, 항암 성분 함량을 높이는 최적의 재배기술을 발견해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