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갯벌을 들여다보면 군데군데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흙이 쌓여 있기도 하고, 뽕뽕 뚫려 있는 구멍도 있어요. 이 구멍들이 바로 갯벌 생물들이 지은 집의 입구랍니다. 갯벌 속 집들은 어떻게 생겼는지 그 속을 들여다볼까요?갯벌 생물의 집, ‘서식굴’갯벌은 다양한 생물들이 사는 터전이에요. 갯벌에 ... ...
- 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따르릉~! 자전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안녕? 난 *E.T.라고 해. 어과동 친구들은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난 오래 전 어린이들에게 인기 짱이었던 영화의 주인공이었어. 자전거를 타고 하늘을 날아서 위기의 순간을 벗어난 뒤, 지금까지 자전거로 우주를 여행하고 있단다. 그런데 이젠 자전거가 낡아서 바꿔야 할 때가 온 것 같아. 그래서 이 ... ...
- 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가장 많이 쓰이는 강철최초의 자전거는 나무로 만들었지만, 곧 강철이 대부분 자전거의 소재로 사용됐어요. 그 이유는 강철은 아주 강하고 탄성이 좋으며, 자전거에 생기는 진동도 잘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또 가격이 싸고, 가공하기도 쉽답니다. 그래서 지금도 강철은 자전거의 몸체에 가장 많이 ... ...
- [과학뉴스] 수고했어, 로제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016년 9월 30일(한국 시간),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12년이 넘는 긴 여행을 모두 마치고 임무를 종료했어요. 로제타는 지난 2004년 3월, 유럽우주국이 쏘아올린 탐사선으로, 65억km의 먼 거리를 10년 동안 날아서 2014년에 67P 혜성에 도착했어요. 도착 직후 무인탐사로봇 ‘필래’를 67P 혜성 표면에 내려 ... ...
- Part 1. 왜 주목 받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타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어요. 그만큼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2015년 자전거 보유 대수’를 조사한 결과, 1022만 대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1000만 대를 넘어섰어요. 지난 2010년에 비해 64%나 늘어났지요. 자전거가 빠르게 늘어난 이유는 자전거가 가진 ... ...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사물인터넷과 만난 스마트 자전거사물인터넷은 사물의 센서가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주고받는 기술이에요. 최근 자전거와 사물인터넷이 만나 똑똑한 스마트 자전거를 만들었답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도난 방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자전거 도난은 큰 ... ...
- Part 5. 안전하게 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전등은 달고, 이어폰은 빼고현재 법적으로는 자전거 뒤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만 있어도 괜찮아요. 하지만 안전을 위해서는 자전거 뒤에 자전거가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려 주는 전등을 다는 것이 좋아요. 또 자전거를 탈 때는 꼭 이어폰을 빼야 해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쓰고 자전거를 타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친구들, 안녕하세요. 작년 6월부터 1년 동안 갯벌에 사는 생물들의 집에 대해 연구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구본주 연구원이에요.제가 갯벌 생물의 서식굴에 관심을 갖게 된 때는 2003년쯤이에요. 새만금갯벌에 현장 답사를 나갔다가 서식굴의 크기가 궁금해서 안에 액체를 부어봤는데 끊임없이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저를 그저 가재와 쏙을 닮은 작은 갯벌 생물이라고 기억했어요. 하지만 올해 8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구본주 연구원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저는 단숨에 갯벌 건축왕 후보가 됐답니다.제가 지은 서식굴은 최대 2m 깊이로, 굴의 전체 길이가 평균 8.6m에 달해요. 굴의 부피는 최대 18L 이상이에요. 제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알려져 있답니다. 즉, 이 지역들은 활성단층의 영향을 받기 쉬운 편이라고 할 수 있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이윤수 책임연구원은 “양산단층대는 2300만 년 전 이후 지금까지 큰 지각변동을 여러번 겪으며 에너지가 쌓인 지역”이라며 “이번 지진은 이 에너지가 분출되는 과정으로 보인다”고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