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안녕! 나는 이상한 나라의 시계 토끼야. 1월 1일을 맞아 열리는 모자장수의 티파티에 늦지 않으려고 시계를 봤는데…. 으악!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어! 여길 봐! 내 시계에 1초가 늘어난 거 보이니? 내 시계가 고장난 걸까? 도대체 이게 무슨 일이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측정할 수 있는 거예요.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도 이터븀 원자시계를 개발하고 있어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간센터 유대혁 센터장은 “2020년 이후에는 시간의 기준이 스트론튬이나 이터븀 원자시계로 바뀌게 될 것”이라며 “전세계는 지금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원자시계를 개발하기 위해 경쟁 ... ...
- [찰칵 퍼즐 여행] 제주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수학동아 친구들 안녕? 2017년 새해가 밝았어. 새해에는 퍼즐을 풀며 멋진 여행지로 떠나보려 해. 처음으로 가볼 곳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제주도야. 앗, 그런데 여러분이 수행할 미션이 하나 있어. 바로 첫 번째 퍼즐부터 네 번째 퍼즐까지 풀고, 각 퍼즐에 표시된 ○△◇에 해당하는 숫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것을 줄이고 싶다’고 생각한들 실제 뇌파를 조절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은가. 이은정 한국뇌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개선이 필요한 뇌 영역을 집중적으로 훈련하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거나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비결은 시각적인 피드백이었다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윔프 같은 차가운 암흑물질(CDM)을, 암흑에너지로 진공에너지를 가정한다. 아르만 샤필루 한국천문연구원 우주론연구그룹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구한 값이 틀렸다면) 표준우주모형이 실제 우주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뜻”이라며 “모형의 일부분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만약 두 ... ...
-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노벨상 수상 비결이요? 저에겐 행운이었어요. 적절한 시점에 좋은 연구 주제를 만난 덕분이었죠. 원래 입자물리학을 계속 하고 싶었는데, 뜻대로 ... 열린 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한 뒤 곧바로 한국으로 돌아온 코스털리츠 교수는 1월까지 한국에 머물며 여느 때처럼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감하게 한국 행을 결정했습니다.”복원력이 강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들그가 한국에 와서 시작한 연구는 박사 시절부터 관심을 가졌던 구조 신뢰성 연구 중에서도 ‘도시 복원력(Resilience)’이었다. 도시 복원력이란 재난재해가 일어났을 때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가 발생한 뒤 원상태로 ... ...
- [새 책] “ 나, 리처드 도킨스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작한다.바야흐로 ‘덕후’가 큰일을 해내는 시대다. 덕후란 일본어인 ‘오타쿠’를 한국식 발음으로 바꿔 줄인 말로, 본래는 장르문화의 팬을 총칭하는 단어였지만 이제는 ‘한 분야를 잘 아는 사람’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말로 바뀌었다. 최근 영국의 한 덕후가 일을 냈다. 위대한 추리소설가 ...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참가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팀의 인간동력 항공기. 초고속 자전거로 선물을 빠르게 배달하던 중 난관에 부딪쳤어. 자전거로는 넘을 수 없는 아주 큰 산과 넓은 바다를 만난 거야. 다른 대륙으로 가기 위해서는 하늘을 훨훨 날 수 있는 비행기가 필요한데…. 과연 내 힘만으로 날아오를 수 있을까 ... ...
- [특별 인터뷰 2] SW교육으로 미래를 코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작품 공모전’은 ‘소프트웨어로 만드는 미래’를 주제로 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주관한 공모전이에요. 전국 초·중·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패션, 음악, 영상 등의 분야에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한 작품을 만들어 응모할 수 있지요. 여기서 우수작으로 뽑힌 10개의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