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4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은 두 차례 충돌 결과물"…달 형성 표준모델 보완
연합뉴스
l
2021.09.27
형성했다고 분석했다. 당구공이 다른 공에 부딪히거나 계단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공이
에너지
를 뺏기며 속도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원리로 설명했다. 이는 달 형성 표준모델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밝혔다. 아스파우그 교수는 "달 형성 표준모델에서 (달이 ... ...
삼성전자 반도체 폐기물, 현대제철 제철소에서 재활용된다
연합뉴스
l
2021.09.27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자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다양한 환경
에너지
기술로 자원과
에너지
의 순환구조를 구축해 유한자원의 한계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환경부 녹색기업 선정, 카본 트러스트 탄소·물·폐기물 저감 인증, UL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등 여러 ... ...
[과학게시판] 박상후 핵융합연 선임연구원, 아태물리학협회 신진연구자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한국핵융합
에너지
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핵융합연 제공 ■ 한국핵융합
에너지
연구원은 박상후 플라즈마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 플라즈마 물리 분과에서 수여하는 신진연구자상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아태물리학협회는 플라즈마 물리학과 관련된 세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람 타고 나는 씨앗 흉내낸 3차원 전자소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로봇이 비행할 때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연구팀은 로봇이
에너지
를 사용해 날아가는 능동형 방식이 아닌,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수동형 방식을 택했다. 전기모터 등 부품을 생략하니 소자의 크기를 수십~수백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까지 줄일 수 있었다. ... ...
[주말N수학] 기하학과 정수론 그리고 노력의 대가 베른하르트 리만
수학동아
l
2021.09.25
연관된 함수인 리만 제타 함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다이슨은 이 함수가 원자핵의
에너지
를 표현하는 양자역학의 수식과 같다는 것을 밝혀내기도 했습니다. 수학 천재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리만도 사실은 부단히 노력하는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그의 유품 중엔 수많은 계산과정이 적혀있는 ... ...
화성 지질학자 인사이트 '사투' 놓칠 뻔한 최대 '화진' 잡아내
연합뉴스
l
2021.09.24
수밖에 없었다. 태양광 패널의 충전량은 점점 더 떨어지는데 기온 저하로 보온에 필요한
에너지
는 더 많아져 취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인사이트호의 주요 임무인 지진계 운용도 위협 받았지만 두 개의 태양광 패널 중 한쪽 끝에 로봇팔로 모래를 끼얹는 모험적인 방법으로 위기를 모면했다. 모래가 ... ...
[과기원은 지금] 인공 단백질 고분자 만들어 암세포만 죽이는 기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유자형 화학과 교수(사진)와 곽상규
에너지
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이 진준오 영남대 의생명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인공 단백질 고분자를 세포 안에서 만들어 암세포를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UNIST 제공 ■ KAIST는 유승화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능동-전이 학습과 데이터 증강기법을 ... ...
[과학게시판] 지질자원연 ‘한국광업사’ 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연구원 연구팀이 불소가 도핑된 분말형 그래핀을 전극으로 도입해 고출력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인 슈퍼커패시터의 성능을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소재 분석을 통해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의 중간 성질을 내는 준이온결합 존재도 밝혀냈으며 슈퍼커패시터 성능 확인 실험도 진행했다. ... ...
한 달 이상 하늘 나는 태양광 무인기 2025년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5
성층권에서 장기 체공하기 위해서는 오래 전력을 확보해 저장하고 운용하는 기술과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초경량 기체 기술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리튬황배터리 등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고 탄소섬유 복합재 등 소재와 부품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는 ... ...
[랩큐멘터리]기후변화 시대 믿고 맡길 차세대 전력시스템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5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최적의 운영과 제어 알고리즘을 찾아내는 것이다. 포스텍
에너지
시스템연구실을 이끄는 김영진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대규모 풍력발전단지의 안정적 연계를 위해 분산형 제어기술을 개발했다. 실증 인프라를 통한 검증이 어려운 전력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해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