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어렵다는 얘기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나 감정 변화를 좀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측정
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장비로 뇌의 생리적 변화를 파악해 소비자 심리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려고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며 “국내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에너지준위에만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양자효과는 거시적 세계에서는 그 효과를
측정
할 수 없으나, 미시적 세계에서는 효과가 두드러진다 즉 원자나 핵의 내부 세계 구조나 특성, 그리고 그들과의 운동을 규명하는데 있어 양자효과는 절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인공적으로 전자를 초미세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좌표가 이미 알려진 고물자리에 있는 밝은 별에서 이 성단들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
해 그 위치를 기입하는 식이었다.그후 이 두 성단은 M46과 M47로 불리게 됐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M46은 다른 관측자들에게도 잘 확인됐으나 M47은 어느 누구도 다시 찾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메시에의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있는 은하가 지구에서 수십억 광년 떨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인공위성에서
측정
한 에너지로부터 추정한 감마선폭발 천체의 폭발 에너지는 초신성폭발의 에너지와 맞먹는다는 것이 밝혀졌다.이 양은 태양이 평생 방출하는 에너지보다 훨씬 큰 양일 뿐 아니라 불과 수초에서 수분 사이에 ... ...
6. 의료_좌변기에 앉아 건강검진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반인과 거의 똑같이 생활할 수 있다. 좌변기에 앉아 일을 보는 동안에는 몸무게가
측정
돼 비만으로 이어지기 전에 경고해준다. 목욕을 할 때에는 호흡, 심전도 등 정보가 분석된다.가정 곳곳에 위치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생체 신호는 집안에 설치된 개인 의료 상담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 ...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냈어요. 그리고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하나하나 반박해나갔습니다. 볍씨 자체의 연대를
측정
했고 전자현미경과 DNA 분석을 통해 실제로 벼라는 것도 증명했습니다. 또 중국, 필리핀, 미국에서 열린 국제학회에 참석해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그러자 지난해 10월 BBC에서 제 연구결과가 소개된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있었다. 키네티크1에는 탑승자가 머물 곤돌라가 매달리는데 곤돌라에는 우주복사를
측정
하는 장비, 우주먼지를 모으는 끈끈이 종이 같은 망이 설치돼 있다. 이 관측장비를 설계한 콘웰에 위치한 로즈랜드 관측소 소장인 브라이언 신은 “먼지는 초기 우주의 화학적 구성에 대한 실마리를 ... ...
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더해야 현재의 시간과 같아지는 것이다.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시계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
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삼국사기 8권에는 ‘신라 성덕왕 17년(718년) 여름, 6월에 비로소 누각을 만들었다’라고 적혀 있다. 이는 우리나라 역사에 나타난 물시계 제작의 첫 기록이다. 또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