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작용을 받은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는다. 연구단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자외선 연령
측정
모델을 적용해 안드로메다은하의 나이가 우리은하와 동일하다는 점도 밝혀냈다.현대우주론의 최대난제는 은하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했느냐는 것이다. 갤렉스는 이 난제를 풀기 위해 우주공간에 파견된 ... ...
10. 사고율 제로에 도전한다 충돌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무선기술인 초광대역통신(UWB)을 도입한 충돌방지 레이더를 선보였다. 악조건에서도 위치
측정
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방의 자동차나 보행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로는 그만이다.차세대 첨단 기술의 실험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컨셉트카가 애용된다. 볼보 SCC2는 자동차 안전 장치에서 세계 최고를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방법으로 검사할 때는 환자의 뇌척수 액에서 이런 형태의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측정
한다.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반드시 발견되는 또 하나의 특징은 실타래가 엉켜 있는 것 같은 모양의 신경섬유 덩어리다. 이는 신경전달물질의 세포 간 이동통로인 신경세포 돌기를 구성하고 있는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용해 이 현상을 확인하는 실험에 착수했다. 지구와 수성 사이의 전파이동 시간을
측정
하는 것이었다. 그는 지구와 수성 사이의 전파 이동선이 태양과 가까울수록 전파가 점점 느려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1970년대에는 샤피로 시간지연 현상이 화성 궤도선인 마리너 6호와 마리너 7호를 이용해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동량을 추정했다. 또는 관측선에 부착하거나, 해저에 설치한 해류계를 이용해 직접
측정
했다.이 연구에 따르면 대한해협을 통한 바닷물의 이동량은 여름철에 최대(2.13Sv)이고 겨울철에 최소(0.19Sv)이다. 때에 따라서는 여름철에 4.1Sv, 겨울철에 2.2Sv의 큰 값일 수도 있다. 또한 2개월 사이에 4.3Sv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구름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저기압이 되면 폭풍우나 비가 오는 것이다. 이처럼 기압을
측정
해 공기의 흐름을 알아내고, 이를 이용해 날씨를 예상할 수 있다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상태. 분수양자홀 효과는 매우 정확하기 때문에 정밀한 전기저항을
측정
하거나 자기장의
측정
표준을 세우는데 중요한 이론 실험적 근거들을 제시한다.지난 1982년 슈퇴르머 교수와 추이 교수는 반도체에 수직으로 강한 자기장을 걸면 전기저항이 3분의 1에 가까운 분수값을 가진다는 사실을 처음 ... ...
04. 드라마 속 사랑 과학으로 다시 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스티븐 갠지스테드와 생물학자 랜디 쏜힐은 여러 사람의 손, 발, 귀 등의 폭과 길이를
측정
해 전체적인 신체 대칭성 지수를 구했다. 그리고 실험 참가자들에게 이들의 사진을 보여주며 누구에게 더 매력을 느끼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외모가 대칭인 사람일수록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경우가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용하는 비교기 유출구와 그 곁에 놓인 물체 사이의 틈에서 나오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측정
할 물체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한다 해저에서 공기의 기포(氣泡)를 뿜어 올려 파도를 없애는 장치 자체의 무게와 강도로 강력한 파도의 힘을 이겨내고, 물결이 항내(港內)로 침입하는 것을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아직 인간의 기술이 미비하다고 생각된다. 뇌의 작은 부분이 활성화된 것이 제대로
측정
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학자들이 만들어낸 실험모델이 불완전했을 수도 있다.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문학자뿐 아니라 뇌과학자들도 당분간 결론을 유보하는 편이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