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변화를 관찰했다. 파킨슨병에 걸린 쥐는 1주일 동안 도파민신경세포가 50%로 줄어든다. 이후에 1주일 동안 매일 캡사이신을 주사한 쥐는 도파민신경세포가 더이상 줄지 않은 반면, 캡사이신을 주지 않은 쥐는 도파민신경세포가 20~30%로 줄어들었다. 행동학적으로도 파킨슨병에 걸린 쥐는 한쪽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사하다. 일본에는 우리나라의 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센터시험이 있는데 매년 1월 13일 이후 첫 번째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간 시험을 치른다. 국립대는 센터시험의 점수와 대학에서 실시하는 대학별 고사를 합산한 점수를 토대로 학생을 선발하며, 사립대 일부는 센터시험 100% 혹은 대학별 고사 100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규제 기준인 ‘유로6’에 맞춰 ‘클린 디젤’을 만들겠다는 것. 실제로 지난해 9월 이후에 출시된 디젤차 신모델은 모두 유로6 기준에 맞췄다. 올해 9월 1일부터는 유로6 기준이 모든 디젤차에 적용됐기 때문에 기존 유로5 기준을 만족하는 디젤 차량들도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추가로 장착해야만 한다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기술이 발달하면서 연구에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작년 에볼라 유행 이후로 자연숙주와 병원균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레서스원숭이(➊)가 SIV(➋)에 감염되면 에이즈를 앓는다.반면 아프리카녹색원숭이(➌)는 SIV에 감염돼도 별다른 증상이 없다. 두 종이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도움이 된다니 우리에게는 매우 생소하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흔한 일이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아카데미상 후보작의 80%, 에미상 후보작의 90%가 드라마티카 프로와 같은 글쓰기 SW를 사용한 창작물이다. 아카데미상은 미국에서 상영한 영화, 에미상은 미국 TV에서 활약한 작품을 대상으로 주는 상이다.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팀의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90년대 이후에는 객관적으로 선수를 평가하고 경기를 판단하겠다는 취지로 수학 이론과 데이터를 수치화한 통계 자료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했다.수학을 이용해 야구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전략도 세울 수 있다면 야구는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만약 찾을 수 없다면, 수열을 더 길게 자르고 1부터 1000번까지 부분의 엔트로피보다 1000번 이후 부분의 엔트로피가 어떤값 이상 차이나게 작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엔트로피는 점점 작아지지만 0보다 작을 수 없으므로 언젠가 반드시 모순이 생긴다.타오 교수는 처음 ... ...
-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5년 11호
- 1856년, 24세 청년 캐럴은 대성당에 사진을 찍으러 갔다가 헬리 리델 가족과 만났다. 이후 리델 가족과 친해져 시간이 날 때마다 가족과 어울렸다. 특히 리델의 둘째 딸인 앨리스와 사이가 각별했다. 그는 앨리스를 기쁘게 하려고 인형극과 마술을 배웠고, 여러 가지 게임과 퍼즐을 개발했다.앨리스가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혜성 출현을 확인한 것은 총 8번이었고, 1회에서 최대 6회 관측에 그쳤다.하지만 1450년 이후 혜성이 나타날 때마다 관측 횟수가 최대 38회까지 많아졌고, 관측 내용도 혜성이 출현한 방위와 별자리, 꼬리의 길이까지 상세해졌다. 또 이순지와 김담처럼 특별 관측자를 임명해 관측을 맡긴 경우도 여러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통해 우량한 동식물을 골라 교배시켜 왔고, 유전법칙을 활용한 과학적인 육종이 193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작됐다.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싸게 팔리는 한우를 예로 들어 보자. 현재 우리나라에서 크는 한우는 약 270만 마리 정도이며, 그 중 3분의 1이 가임 암소다. 이들을 매년 수태시키는 데 쓰이는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