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한 번째 대결 높이 높이 날아라~! 나만의 비행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대결에서 반드시 이겨서 섭섭박사의 저력을 보여 주겠어!”지난 대결 패배
이후
연패의 늪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 필승을 다짐하는 섭섭박사님과 이를 저지하려는 도전자들! 과연 누구의 비행기가 가장 멋지게 날았을까요? 대결 전, 상식 쌓기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을까?길을 걷다 보면 먼 ... ...
명태 vs 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우리나라 동해에서 명태가 많이 잡혔기 때문에 명태가 ‘국민 생선’이 됐지만, 1970년대
이후
명태 어획량이 급격히 줄었거든요. 결국 2008년엔 우리나라에서 명태를 한 마리도 볼 수 없게 됐답니다.다음부터 식탁에 올라온 생선이 명태인지 알고 싶을 땐 아래턱을 확인해 보세요. 명태는 대구와 달리 ... ...
출동! 우리 산림생물 바로 알기 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수목원이에요. 1468년 국립수목원을 포함해 광릉 주변의 숲이 세조대왕 능림으로 지정된
이후
540년이 넘도록 보존돼 오면서 생태계의 보고로 자리잡았답니다. 국립수목원에서는 산림생물들이 많이 살아가는 광릉 숲을 초등학생 탐험대원들과 함께 돌아보며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우리 산림생물 ... ...
Part 3. 치킨의 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먹었을까요? 튀기는 닭 요리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50년대 한국전쟁 때로 알려져 있어요.
이후
1980년대 치킨 체인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우리나라 치킨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됐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오! 나의 '치느님' 공룡에서 치킨이 되기까지한눈에 보는 치킨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살리기 위해 인공수정을 한 결과 올해 2월, 다시 명태 알을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이후
7달 동안 정성스레 키워 약 3만 마리의 어린 명태를 얻어냈답니다. 명태는 차가운 물을 좋아하는 냉수성 어종이기 때문에 수온이 10℃ 이하로 내려가는 11월쯤 인공으로 키운 명태들을 동해에 풀어 줄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생산하고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요.하지만 프리츠 박사는
이후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독가스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이 독가스는 제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이 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데 쓰였지요. 결국 하버 박사는 인류에 공헌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전시물이 같이 놓여 있었답니다.“탄광에서 사용하던 전화기예요. 57년 전에 처음 만드고
이후
로 지금의 스마트폰까지 60년 동안 꾸준히 통신장비를 개발하고 있어요.”IT창의과학탐험대의 중국 탐방은 첨단 과학 기술의 현장을 직접 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어요. 그나저나 근두운은 찾았냐고요? ... ...
순간포착 세렝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자료를 모아놓은 웹사이트예요. 이곳에선 누구나 쉽고 빠르게 사진을 분류할 수 있죠.
이후
많은 사람들이 과학자들을 돕기 위해 주니버스에 올라온 동물들의 셀카를 분류하는 데 참여했답니다.움직이면 찍힌다! 세렝게티 자동 카메라2010년 세렝게티 초원엔 230대의 카메라가 설치됐어요. 한 동물이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높은 밀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어요.연구팀은 인류가 1만 2000년 전,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나무 수가 46% 정도 줄었을 거라는 연구 결과도 함께 발표했어요. 크라우더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앞으로 건강한 숲을 지키기 위해 훨씬 더 노력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기차였어요.저는 기하학 연구에 종이접기가 딱 알맞은 소재라는 걸 깨달았어요. 그리고
이후
에 ‘무서의 기차’처럼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반복해서 접었다가 편 종이를 이용하면 어떤 모양이라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해냈지요. 이런 연구들이 수업으로 이어졌어요.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