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양자역학의 다세계 해석(과학동아 2011년 10월호 참조), 영원히 관측할 수 없는 다중우주(2012년 5월호 참조), 그리고 외계생명체 탐사(2012년 7월호 참조) 등이 과연 과학인지를 논하는 부분이 나온다. 저자는 이들을 일반적인 ‘과학’과 구분해 ‘거의 과학’으로 분류하고 있다. UFO나 최근 시조새 ... ...
- 재료공학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앞서 언급했던 바이오 재료, 전자재료뿐만 아니라 에너지 재료, 환경재료, 나노 재료, 우주항공재료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에너지 재료 및 환경재료’에서는 화석 에너지 고갈을 해결할 수소 저장 합금이나 연료전지,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효율 향상, 태양광 소재 또는 압력에 의해 전력을 ... ...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큐리오시티~, 큐리오시티! 아직도 저기서 맴돈단 말이야? 하여간 꼼꼼한데다 겁도 많아서는! 그래서 어느 세월에 화성을 다 탐사한담~. 이 ‘텀블위드 로버(Tumbleweed Rover)’가 큐리오 ... 화성 탐험기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PART 3. 우주로봇 ...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입자를 발견하면서 지적 능력의 정수인 표준모형이 완성됐다. 이제 인류의 지적 능력은 우주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 안에 입자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별이 만들어지고, 인류가 생겨났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게 됐다. 마치 우사인 볼트 덕분에 인간이 100m를 10초 안에 뛸 수 있다는 육체적 능력의 ... ...
- 입었다 벗었다, 행성 대기는 계절 패션?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변화한다는 사실이 처음 확인됐다.알랭 르카블리 파리 천체물리학연구소 박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목성형 외계행성 HD189733b의 대기를 두 차례에 걸쳐 관측했다. 2010년 4월 관측 자료를 분석했을 때는 이 행성에서 새어 나오는 대기가 없다는 결론이었다. 하지만 2011년 9월 ... ...
- 중간크기 블랙홀 단서 발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그동안 베일에 가려 있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자연사박물관과 뉴욕시립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 스미소니언센터 공동연구팀이 이 과정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을 발표했다.중간 크기 블랙홀의 성장 과정이 수수께끼였던 것은 지구 근처에서도 볼 수 있는 소형 블랙홀이나 ...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눈을 하늘에 두자현대 학문은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체계를 세운 것이다. 21세기에는 우주과학이 크게 발달하고 지구가 속한 태양계의 실체가 새로 규명됐다. 인간의 삶을 다루는 인문학, 특히 인간의 삶의 자취를 다루는 역사학은 변신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곧 역사적인 조건이기 때문이다. ... ...
- [생활] 유희의 수, 15수학동아 l2012년 08호
- 15는 삼각수 중 5번째에 해당하는 수다. *형상수 고대 그리스 시대의 피타고라스학파는 우주 만물이 수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고 도형을 이용해 숫자를 표현했다. 이렇게 도형으로 묘사된 자연수를 형상수라고 한다.*메르센 수 2의 거듭제곱에서 1이 모자라는 수. 즉 자연수 n에 대하여 2ⁿ-1꼴의 수.제 ... ...
- PART 3. 우주로봇 대전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우주와 행성을 탐낸 인류는 로봇에 욕망을 실어 보냈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달을 시작으로 화성, 목성의 위성, 소행성 등이 우주로봇의 행선지였다. 우주선이나 위성에 연료를 공급하거 ... 탐험기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PART 3. 우주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제 인류는 과거의 인류와는 다른 존재가 됐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의 근원인 우주를 보다 잘 이해하게 됐으니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힉스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PART 2. 힉스, 등장에서 관측까지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PART 4. 신의 입자는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