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2020년 실용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만들었다.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가 각광받기 시작한 것은 1965년, 미국
우주
선제미니 5호에서 선내 전력과 음료수를 공급하면서부터다.기존의 배터리는 금속과 전해질 사이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으로 전기를 만든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 사이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수 있는 광원과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자일링거 교수팀은 이후
우주
에 있는 인공위성사이에서 더 먼 거리의 실험을 하겠다 예고했다.앞서 예로 든 영화 ‘플라이’ 속 순간이동 기계를 만들려면 빛뿐 아니라 원자의 정보 또한 양자 전송으로 보낼 수 있어야 한다. 2004년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불러일으켰다. 논란에 종지부를 찍은 것은 베스타에 천체가 충돌한 흔적이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궤도에 올라가자 천문학자들은 베스타를 관측해 남극 지역에서 거대한 ‘레아실비아’ 충돌 분지를 발견했다. 이 충돌로 HED운석이 떨어져나왔을 가능성이 있었다.그리고 궤도로 미루어 보아 ... ...
안철수가 인용한 SF작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살아가는 소외 계층의 이야기를 주로 다룬다. 사이버펑크의 배경이 되는 세상은
우주
를 날아다니는 먼 미래가 아니다. 정부가 쇠퇴하고 그 대신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한 다국적 거대기업이 세상을 지배하며, 높은 건물과 화려한 네온사인 아래서 살아가는 하층민의 삶은 더욱 그늘져 있다. 남의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달 탐사를 단기적 목표로 삼은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에 한국형
우주
발사체는 밑바탕이고 나로호 발사는 그 시작이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상상해 보자. 우리가 독자 기술로 만든 발사체가 달을 탐사하는 탐사선을 싣고 거대한 굉음을 내뿜으며 파란 창공 위로 올라가는 날을.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양자비트가 있을 때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상태의 수는 2n개가 된다. n이 300일 경우
우주
안에 있는 원자의 수 보다도 더 많은 상태의 수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말은, 고전 컴퓨터로 해결하려면 수백 년이 걸리는 문제를 단 몇 분 안에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이다(큐비트와 양자컴퓨터에 ... ...
보이저 1호, 태양계 벗어났나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헬리오스시스를 통과했는지에 대한 기준은 3가지다. 태양계 바깥에서 날아오는고에너지
우주
선의 증가,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하전입자량의 감소, 자기장 방향의 변화가 바로 그것이다. 자료 분석 결과, 앞의 두 조건은충족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기장이 바뀌었는지 대한 정보는 아직 없다. 보이저 ... ...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보인다. 그런데 암흑에너지는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정체를 알 수가 없다. 그리고
우주
의 운명을 좌지우지 한다. 덮어 놓고 지나갈 수가 없다는 말이다. 아직 나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들이 암흑에너지의 존재와 실체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천문학 최대의 이슈인 것만은 ... ...
화성 표면에 하와이 암석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화성 탐사선 ‘큐리오시티(Curiosity)’가 처음 접촉한 암석이 지구에 있는 화성암과 유사한 화학 조성을 보인다고 발표했다. 화성의 토양이나 암석에 대해 분석한 자료는 여러 차례 있었지만 지구의 암석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 것은 처음이다.화성에 착륙한 큐리오시티가 첫 ... ...
스마트폰 속의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느리게 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의 99%로 움직이는
우주
선으로 하루 동안
우주
여행을 하고 온다면 지구는 벌써 1년이 지난 후다. 초속 8km의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 인공위성에서도 이 특수상대성이론이 적용돼 지구와 비교해 미세하게 시간이 느리게 가는 시간지연효과가 나타난다.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