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했다.연구단은 효소 중간체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X선
에너지
의 세기를 변화시키며 투과 전후의 X선 흡수 계수를 분석해 원자 배열의 구조를 알아내는 ‘X선 흡수 미세구조 분석장치’(EXAFS)같은 장비를 이용하며 짧은 시간에 빠르게 일어나는 화학반응도 마치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찾아낸다. 또 광학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는, 폭발이 일어날 때 태양 내부에서 일어나는 고
에너지
입자들의 흐름도 추적한다.흑점의 새로운 주기를 맞아 태양의 비밀을 밝히는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활약을 기대해보자.흑점이 생기는 원인플라스마로 이뤄진 태양은 극 부근과 적도 부근의 자전속도가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행기와 로켓, 인공위성부터 자동차, 선박 설계까지 모두 활용할 수 있다. 대체
에너지
개발에도 쓰인다. 김 교수팀은 지난해 ‘사이클로 블레이드 시스템’이라는 항공기 기술을 이용해 소형 풍력발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성과로 김 교수는 2008년 10월 서울대에서 처음으로 제정한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0×0.002=0.01(J)다. 그래프 (가)에서 RB의 밑넓이가 더 넓으므로 10초 동안 RB 가 소비한 전기
에너지
양이 더 많다. 7. 그림과 같이 질량 M인 물체와 질량 m인 물체가 용수철상수 k=90N/m인 용수철과 연결된 줄을 통해 도르래에 걸려 있다. 중력가속도 g는 10m/s2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라. 1) m=4kg일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
E=-G M×m/r+ 1/2mv2이다. 제시문 (가)에 의하면 이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
가 0이면 우주의 중력장을 탈출할 수 있는 임계 상황이므로 우주가 팽창을 멈추기 위한 조건은 ?G M×m/r+ 1/2mv2=0이다. 이 물체는 허블 법칙에 의해 v=H·r을 만족하므로 두 식에서 v를 소거하면 임계 밀도 ρ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가속 팽창하고 있다. 암흑
에너지
의 유력한 후보는 중력에 대항해 물질을 밀어내는 진공
에너지
인 우주상수.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은하 NGC1569. 기린자리 방향으로 1100만 광년 떨어져 있는이 은하에서 수백만 개의 별이 새로 태어나고 있다.안홍배 교수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 ...
종합적 사고력이 논술 평가의 핵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공급하기 위한 작용이다. 조직세포에 공급된 산소는 음식물에서 얻은 영양소를 산화해
에너지
를 얻는 데 이용된다. 세포에서 이뤄지는 영양소의 산화 작용을 세포 호흡이라고 한다. 세포 호흡에 참여한 산소는 대부분 물로 환원되지만, 일부는 초과산화이온(O2-), 과산화수소(H2O2), 수산화라디칼(OH)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아니냐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같은 양의 고기를 얻는데 소는 돼지보다 3배나 더 많은
에너지
가 들어가기 때문이다.현재 세계에서 소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로 2억 8000만 마리나 된다. 그러나 이 녀석들은 고기소가 아니기 때문에 한 마리가 먹는 양도 적고 똥도 말려 연료로 쓴다. 물론 농사일도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있다. 이들 망원경은 우주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정확히 알아내고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
의 정체를 밝히며 외계행성계와 생명의 탄생을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발견의 학문인 천문학에서는 어떤 망원경을 가졌는지가 경쟁력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장 큰 망원경이 지름 1.8m에 지나지 않아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브레이크’를 만들어 ‘사이언스’에 발표하기도 했다(과학동아 2008년 10월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참고).“앞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는 수동보행과 능동보행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전망입니다. 사람 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로봇기술도 함께 발전하겠죠.”쿠오 교수는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