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행성 중 무게나
규모
면에서 '큰아들'격인 목성은 태양계 생성 초기의 모습을 원형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질량 : 1.9×${10}^{26}$㎏지름 : 14만2천8백㎞평균밀도 : 1.33g/㎤자전주기 : 9시간50분~9시간55분공전주기 : 11.86년태양과의 평균거리 : 7억7천8백30만㎞(5.203AU) 태양계의 아홉개 행성중에서 가장 큰 것이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걸쳐 고루 분포돼 있는데 지금은 제주와 김해지방에서 주로 비닐하우스를 이용, 대
규모
로 쑥을 재배하고 있다. 때문에 양력 1월에도 싱싱한 쑥이 시장에 나오지만 향기가 덜한 결점이 있다.쑥은 제철음식으로도 좋고 구황식물로도 한몫 하지만 약으로도 유명하다. 일찍이 중국의 맹자가 속알이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것들은 매우 비싸고 삼각대를 필요로 한다. 10×50 쌍안경은 은하를 관측하기에는
규모
가 작은 것이 사실이나, 처음 은하들의 위치를 파악해보려는 사람들에게는 가장 유익한 도구가 될 것이다.은하들은 수십개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은하군이나 은하단의 일원으로 존재하고 있다. 우리 은하는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지진의 강도라는 말은 이 등급에 의한 분류다. 한편
규모
는 지진발생시에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관측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다행스럽게도 주 지진대(main seismic belt)로부터 다소 벗어나 있고, 20세기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면모만을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첫째로 현대과학은 우주의 엄청난 시간적 공간적
규모
와 그 안에 성립되는 엄격하고 조화로운 자연질서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는 세계에 비해 너무도 방대하고 장엄한 것이어서 설혹 우리가 이 안에 새겨진 의미를 손쉽게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개진되었다. 넷째날아침 일찍 후쿠오카 시내관광을 했다. 시내 중심부에 조성된 상당히
규모
가 큰 공원에서 후쿠오카시를 조망한 뒤 간단히 쇼핑시간을 갖기도 했다. 오후 1시 40분 서울발 항공기를 탑승했는데, 나흘 전과는 달리 일행은 훨씬 친숙한 분위기에서 대화를 이어갔다. 비행기의 창밖으로 ... ...
20세기안에 고온초전도 상품 나올듯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microwave resonator)가 상용화 되었으며, 적외선센서 초전도양자 간섭장치(SQUID) 등이 실험실
규모
에서 제작됐다. 이를 통해 볼때 20세기가 끝나기전에 몇가지 고온초전도 상품이 전자공학분야에서 시장에 나올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초전도 자석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될 대전류용용은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 OEM)에 의한 저품질 저가격정책으로 자국 내수시장의 공급과 소
규모
세계시장진출을 모색하고 있다.세계자동차디자인의 최근 경향은 크게 보아 '유체역학적인 형태'(aerodynamic form)와 첨단과학기술에 인간적인 센스를 조화시키는 '휴먼 터치 이미지'(human touch image)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사실은 무척 놀라웠습니다.정창희 보통 화구는 지름이 1㎞를 넘지 못하나 칼데라는
규모
가 훨씬큽니다. 직경이 2~20㎞에 이르지요.예컨대 울릉도의 나리분지는 지름이 약 6㎞인 칼데라이지만 아소산의 칼데라는 20㎞ 정도입니다. 이 칼데라는 대개 지형의 함몰에 의해 생기는데, 아소산 주변의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명근씨(예방의학)는 "연구용 원자로는 서울원자력 연구소 안에도 소
규모
의 것이있다. 그러나 이것이 폭발한다고 해서 서울 전역이 피해지역이 되지는 않는다"고 이라크의 원자로파괴 위험성을 비유해 설명한다. "방사능 피해정도는 결국 누출된 양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해도 원자로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