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팀을 구성했다. 아울러 올여름 한국 아마추어 천문학 역사상 최대
규모
의 별잔치(star party)를 열 예정이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 (02)453-8158로 하기 바람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카메라속에 삽입된 소형 플로피디스크에 자기(磁氣)형태로 기록된다.그런데 CCD는 대
규모
집적회로(LSI)의 사촌쯤 되는 일종의 반도체다. 겉보기에도 일반 집적회로(IC)나 LSI와 분간하기 어렵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CCD는 길이가 10여㎛(μ은 1백만분의 1)밖에 안되는 미소한 감광소자(화소라고도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결론 두가지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지표에 도달하는 전천일사량이 감소하고(비교적 큰
규모
의 폭발적 분출시 5~7%까지 감소) 열대 성층권의 기온을 4~6℃ 상승시킨다.이같은 화산성 에어로졸의 영향이 대류권과 지면 부근의 기후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 주겠는가에 대한 답은 아직 불완전하다. 일사량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보존된다고는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둘째 화석의 연속성을 따지려면 먼저 개체 집단의
규모
와 그 유전적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가령 어떤 생물이 돌연변이에 의해 다른 종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그 종의 수가 극히 적어져 화석으로 남지 못할 것이다. 또한 변이된 종이 유전적 또는 환경적으로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질운동이 활발하다고 히는데, 최근의 연구성과에 따르면 약1만년 전에 발생한 대
규모
의 지질운동으로 앙가라강이라는 새로운 방출구가 형성되면서 호수면의 해발고도가 약 20m 떨어지게 되었다고 한다.이 호수가 대략 북위 51도 30분에서 56도에 걸쳐 있다는 점에서도 곧 알 수 있듯이 호수의 수온은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국제 수준에 비교했을 때 70% 이상이 중위권에 머물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GNP 대비 투자
규모
도 미국이 1.6% 인데 비해 일본은 0.8%에 지나지 않는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 도쿄대학의 이공계 연구예산이 1백억엔에 불과한데 이는 한 대기업의 연구개발비의 30%에 불과하다는 것이다.둘째로 대학의 예산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흥망)라 할 수 있다. 1941년 8월 아시모프는 '로마제국 흥망사'에 자극받아 은하계의
규모
로 확장된 인류제국의 붕괴와 부활의 역사를 그린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여 캠벨에게 검토소재로 제출했다. 이 작품은 캠벨의 지시에 의해서 하나의 미래사를 구성하는 연작 대하소설로 발전한다. 이것이 바로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최고 0.75ppm에 이르렀다. L. A.형 스모그란 1954년 이후 미국 서부에서 1년 동안 계속됐던 대
규모
오염사건을 말한다. 이때도 기온 역전현상이 나타났고 백색연소가 발생했다. 그 원인은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석유계 연료소비량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L. A. 시민들은 눈 코 기도 폐 등의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을 알게 되었다. 디지털신호는 또 먼 거리에서 탐지하기 쉽기 때문에 방송국에서는
규모
가 작고 출력이 적은 송신기를 사용할 수 있어 돈을 절약할 뿐 아니라 다른 채널로부터의 간섭도 줄일 수 있다.그러나 디지털신호의 전송에는 커다란 걸림돌이 가로놓여 있다. 지금까지 디지털신호는 높은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개별적인 발전과정을 겪었다. 1960년대 이후 고지자기 해석을 중심으로 전 지구적인
규모
의 연구가 진행되고 대양저(大洋底)확대설과 대륙이동설이 나오면서 급속한 발전을 보게된다. 지구과학은 최근에 와서야 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독립된 과학 분야로 종합화 체계화 됐다. 산업혁명으로 독자적인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