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서로 다른 식탁에서 밥을 먹고 있던 우리는 어리둥절하며 일어났다. 여러분~ 이 세
박사
님들이 어제 팃빈빌라 자연보호구역에서 낙오된 분들입니다. 200명 좌중이 한 바탕 웃고, 우리는 쥐구멍을 찾고. 우리가 헤매고 있을 때 해와 달, 남반구와 북반구에 대해 혼동했다는 얘긴 꺼낼 수도 없었다. 그 ... ...
2012 바이오 희망나눔 프로그램 “난치병 정복하는 과학자 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는데다 강연 내용도 너무 좋아서 올해 또 왔다”고 말했다.뇌를 주제로 강연한 신희섭
박사
는 인기높은 과학자답게 재미있는 강연으로 학생들을 자주 웃기며 즐거움을 안겨줬다. 특히 쥐의 뇌를 이용한 실험 동영상을 보여줄 때마다 학생들은 탄성을 많이 질렀다. 서울 중앙고에서 화학을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똑똑한 스마트폰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포스텍 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와 이승협
박사
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이 메모리 소자는 지난 4월 ‘어드밴스드머티리얼’지에 소개됐다. 실제로 물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후속 실험에도 성공해 같은 과학학술지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로버트 루스틱 미국 UC샌프란시스코 비만센터 교수와 로라 슈미트, 클레어 브린디스
박사
는 지난 2월 과학저널 ‘네이처’에 ‘당에 대한끔직한 진실’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이들은 당이 담배와 술에 맞먹는 건강 위협 요인이며 특히 각종 식품에 들어있는 ‘가당(added sugar)’이 문제라며 좀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의 뇌 활동만을 관찰할 수 있다.2004년 프랑스의 패네티어
박사
연구팀이 ‘사이언스’에 초전도양자간섭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센서를 개발했다고 발표해 전 세계 뇌과학자들을 기대에 부풀게 했다. 이 기술은 아직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수 있는 사람이 스타 과학자가 된단다. ‘과학콘서트’를 쓴 KAIST 정재승
박사
를 보렴. 정
박사
의 연구업적도 뛰어나지만 세상에는 연구를 잘하는 사람이 아주 많은 있을 거야. 사람들에게 과학을 쉽게 잘 알려 주는 글을 쓸 줄 알기 때문에 더 유명한 거야.”독후감을 반드시 써 두자. 책을 다 읽고 ... ...
마음대로 접을 수 있는 ‘종이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든 주인공은 바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이랍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이동윤, 차승일
박사
팀은 실리콘이나 유리기판으로 만들어 딱딱했던 기존의 태양전지를 금속격자와 세라믹종이, 나노섬유를 이용해 가볍고 부드러운 ‘종이태양전지’를 만들었어요. 이 태양전지는 건물의 창문이나 옷에 ... ...
세상을 밝히는 등불처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연구원, 해외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2007년 9월 성균관대에 둥지를 틀어 많은 석·
박사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졸업하던 그해 겨울 열정적인 연구의 기억은 여전히 삶의 지침과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제자들을 훨씬 나은 인재로 키워내기 위해, 나의 성과가 비추는 빛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GCCS)를 만들어 암호 해독 기술을 연구했다.케임브리지대 킹스칼리지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연구하던 튜링은 국가의 소집을 받아 암호학교에 합류했다. 튜링은 동료들과 함께 폴란드에서 얻은 구형 에니그마를 이용해 신형 에니그마로 만든 암호를 해독하는 데 ... ...
오징어는 하늘을 나는 게 더 쉽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오징어는 먹이를 찾거나 알을 낳기 위해 1000km가 넘는 긴 거리를 여행해요. 오도르
박사
는 오징어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물에서 뛰어올라 날아간다고 설명했어요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