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닐 암스트롱, 영원의 바다로 떠난 달의 영웅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달을 밟은 우주인을 기리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주희
박사
와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
가 글을 보내왔다. 6·25전쟁에서 78번의 전투 참여3닐 암스트롱은 1930년 8월 5일 미국 오하이오 주의 와파코네타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퍼듀대에서 항공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남캘리포니아대에서 ... ...
수면 부족하면 골다공증 생겨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배 이상 많아졌다. 혈소판이 과다하게 많아지면 뇌경색 등이 발생할 수 있다.스티븐 굿맨
박사
는 “스트레스로 인해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현대인은 뼈 건강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중요한 실험 결과”라고 평가했다 ... ...
스카이다이빙의 달인'마니 뛰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프랑스의 스카이다이빙 전문가인 ‘마니 뛰니’ 부인이 세계 신기록에 도전하기로 했다. 종목은 단체 스카이다이빙. 지금까지 세운 세계 신기록은 6년 전 태국에서 세운 것으로 한 번에 400명이 단체로 점프한 기록이었다.“그래서 저는~! 그보다 두 사람 더 많은 402명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용기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우리나라에만 사는 고유 품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어요!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
팀은 진돗개 세포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했어요. 미토콘드리아 DNA는 생물 계통을 분류할 때 사용된답니다. 연구팀은 진돗개의 미토콘드리아DNA를 품종이 다른 개 79종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다른 개가 ... ...
지능형 자동차 IT 연구센터 똑똑한 자동차가 온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2009년 9월에 설립됐어요. 전자파, 통신, 제어 등 관련 분야 15명의 교수와 100여 명의 석·
박사
연구원들이 미래 자동차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요. 미래 자동차는 안전한 자동차와 친환경 자동차,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안전한 자동차는 사람이 타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샘플을 손으로 수집할 때 유용할 것이다.➊ 우주로봇 전문가인 NASA의 브라이언 윌콕스
박사
가 인간과 로봇의 우주탐사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➋ 가상공간에 우주탐사로봇이 움직이는 모습을 구현한 ‘세컨드 라이프’실험 화면.➌ 외계행성탐사용 로버ATHLETE가 울퉁불퉁한 언덕을 오르고 있다.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말벌이 공포심에서 무조건 없애야할 대상으로만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최
박사
는 “최근 수년 사이 도심 말벌 수가 어느 정도 늘고 있는 걸로 보이지만 신고건수가 늘어나는 것만큼 폭발적인 건 아니다”라며 “그만큼 사람들이 민감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 신고를 받고 출동한 ... ...
컴퓨터가 부리는 독심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감정’이다. 2012년 4월 마이크로소프트의 키넥트 개발 총책임자인 앤드류 블레이크
박사
는 “다음 세대의 인터페이스는 사람의 뇌를 이용하는 방식이 될 것”이며, “2013년 새로 출시할 ‘뉴 엑스박스’ 게임기에 이 기능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2010년형 키넥트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 ...
녹색 마녀의 비밀 WICKED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없는 다리도 같은 패턴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로빈를 개발하고 있는 박현섭
박사
는 “착용자가 직접 다리를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정말로 자신이 다시 걷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로빈은 빠르면 내년 하반기에 상용화될 예정이다.저명한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 ...
내 곁에 외계인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외계생명체를 찾는 세티(SETI) 임무에도 관여한 다재다능한 과학자다.이 가운데 이강환
박사
가 최근 외계생명체와 외계행성에 대한 책을 번역했다. ‘우리는 모두 외계인이다’다. 이 책은 우주생물학이라는 분야를 본격적으로 다룬 몇 안 되는 안내서다. 이전에 국내에 소개된 대중서는 크리스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