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한편 지구 건너편에서는 레이저로 번개를 유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황당해 보이지만 물리학자들과 기상학자들에게는 30년 넘게 진행한 중요한 과제다. 낙뢰는 21세기를 맞이한 지금도 전력과 통신 서비스를 멈추게 하고 중요 시설물을 파괴하는 피해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이 재미있는 ...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찍은 최신 사진은 별과 우주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프랑스 천체물리학자인 저자들은 독자가 보고 있는 게 무엇인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했다.네트로피한지훈 지음 | 은행나무 | 280쪽 | 1만 2000원네트로피란 엔트로피, 즉 ‘모든 물질은 긍정적인 상태에서 부정적인 상태로 ...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사람이 더 많다. 토성은 2008년 기준으로 60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1655년 네덜란드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한 타이탄은 그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다.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니 이름값을 하는 셈이다. 타이탄의 지름은 약 5150km이고 다른 위성들과 달리 엷은 ...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주 전공에 따라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배운다. 응용분야는 크게 나노전기공학, 나노물리학, 나노화학재료공학, 나노생명과학 분야로 나뉜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물리, 화학, 전기공학, 생명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올 수 있다. 다만 융합 공학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흥미를 ...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동안 찾지 못했던 ‘우주의 방랑자’를 한국인 과학자들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명균 교수와 박홍수, 황호성 연구원은 3월 11일 “은하와 은하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된다 ...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자세 때문이다. 관절에 걸리는 ‘토크(물체에 작용해 물체를 회전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리량)’가 커서 에너지가 많이 손실된다고 한다.반면 사람은 몸을 꼿꼿이 세우고 걷는다. 그 덕분에 관절과 근육에서 소모하는 에너지가 적다. 게다가 인간은 다리가 길다. 이 연구에 앞서 폰처 교수는 롱다리인 ...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수학에서는 지금도 불가사의한 이론이다. 이 책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현대 물리학에 이르기까지의 대칭의 역사를 설명한다. 저자는 기묘하고 놀라웠던 수학 천재들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함께 대칭이 어떻게 오늘날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가운데 하나가 됐는지 알려준다 ...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방법, 또 예상되는 결과까지 머릿속에 구체적으로 들어 있어야 한다는 얘기였다. 이는 물리나 화학 같은 기초 과학 수준과 관계가 깊다. “지금까지는 없던 원천 핵심기술을 개발하려면 학문의 뿌리까지 거슬러 올라가 거기서부터 가지를 쳐 나가야 합니다. 응용 기술만 알아서는 본질이 같은 자연 ... ...
- 이공계 진학의 새 길, 과학중점학교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혹은 일반과정을 선택해 들을 수 있다. 이때 과학중점과정을 선택하면, 2~3학년 2년간 물리 I·II, 화학 I·II, 생물 I·II, 지구과학 I·II의 8과목과 전문·융합 과목 3과목의 총 11과목을 배울 수 있다. 과학계열 전문교과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과목의 실험을 비롯해 과학사, 전자 과학, 정보 ...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NASA에 데이터를 보내는 일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발사될 무렵 그는 캐나다 빅토리아대 물리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발사되기 두 달 전에 허블 펠로우십이 생겼고 이 교수는 1기 허블펠로우로 선발됐다. 단 조건이 붙었다. 성공적으로 발사된다는 전제 하에서다.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