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하는 순간이었지요. 여기저기서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 금개구리, 참개구리들이 발견됐어요. 대원들은 장교수님과 수원청개구리 연구자인 아마엘 볼 체, 배윤혁 연구원에게 개구리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배운 뒤, 개구리들을 모두 논에 풀어 주었답니다.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 앱을 활용해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견되기만 했답니다. 그러다 올해 초 방사된 여우가 처음으로 야생에서 새끼를 낳은 게 발견된 거예요.게다가 최근에 자연으로 돌아간 돌고래 삼팔이와 복원 중인 따오기의 자연번식 소식까지 들려왔어요.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복원된 멸종위기 동물들이 자연번식에 성공했다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야구왕 ‘ 베이스 보리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문은 너무 세게 닫혀 있어서 힘으로는 열리질 않았다. 바로 그때! 문에 있는 모니터를 발견한 썰렁홈즈. 모니터에는 알파벳 몇 개가 써 있었고, 한 칸은 비어 있었다.“흠…, 이건 누군가 경기장 문에 암호를 걸어 놓은 게 분명해요. 저 빈칸에 들어갈 말을 찾으면 문이 열릴 것 같은데….” 겨우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매머드 부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거든요. 연구팀은 2015년 4월 북극 빙하에서 발견한 매머드의 유전자를 아시아 코끼리의 세포 속 유전자와 바꾸는 방법으로 매머드에 가까운 코끼리 세포를 만들어 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이 세포를 아시아 코끼리의 난자에 이식해 매머드에 가까운 동물을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천 수는 항상 정수 값을 갖는다. 사울리스 교수는 홀 전도도와 천 수 사이의 관계식을 발견했다. 천수는 정수만 될 수 있기때문에 홀전도도 값이 연속된 실수가 아니고, 계단식으로 정수로만 나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었다.[세 번째 연구] - 1차원도 마찬가지사울리스 교수가 2차원에 가까운 평면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않습니다. 골목을 보면 지역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도 있고, 그곳에 숨은 가치를 재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골목에 스민 삶의 정취는 고리타분하고 죽은 역사가 아닙니다. 오히려 도시 정체성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원석입니다.대구 중구의 골목에도 독특한 역사와 문화가 녹아 있습니다. 대구 중구청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학문이다. 대단히 보람 있는 삶이다. 비록 우주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는 없을지라도, 발견의 여정은 정말 매력적이다. 끊임없이 새로운 통찰과, 우리의 삶을 개선하는 혁신을 얻는다. 만약 여러분이 (입자물리학이 아니라도) 과학자가 된다면, 무언가 새로운 것을 최초로 알아내는 사람이 될 기회가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중성자 흡수력이 뛰어나다. 더구나 붕소는 2차 우주선에서 발견되는 2차 중성자를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원소다. 튜브 안에 수소 분자를 넣어주면 수소와 화합한 BNNT가 된다.NASA 랭리연구소에서 2014년 발표한 논문에는 액체수소, 물, 질화붕소, 폴리에틸렌, 수소와 화합한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회다. ‘정복하지 않은 사람들’의 어느 구절에 어떤 반전이 숨겨져 있는지는, 모두의 발견하는 기쁨을 위해 아껴둔다.지난달 ‘스티븐 와인버그의 세상을 설명하는 과학’의 발간 소식을 듣고 괜한 친근감을 느꼈다. e메일로나마 생각과 경험을 주고받았던 과학자의 신간이기 때문이다(은근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페아노가 만든 ‘페아노 곡선’은 그간의 생각을 뒤집는 발견이었다.페아노 곡선은 최근 신소재를 만드는 데 핵심 원리로 쓰였다. 신종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를 활용해 신소재를 개발한 것이다. 금속을 왼쪽 그림처럼 위아래로 엇갈리게 배열해 굴절률을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