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것이 26cm였어요. 후훗! 저 같이 커다란 대벌레는 주로 더운 지방에 많이 살아요. 제가
발견
되기 전까지 가장 긴 곤충으로 알려졌던 대벌레 친구는 말레이시아 살고 있었답니다. 앞으로도 대벌레에 많은 관심 부탁해요 ... ...
[수학 뉴스] 중독성 강한 노래가 히트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오랜 기간 머물렀던 노래일수록 많은 사람들이 중독성 있는 노래로 꼽았다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연구팀은 영국인이 뽑은 중독성 강한 노래가 다른 나라 사람에게도 중독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173개국 사람들이 약 8만 개의 의견을 달았는데, 영국인의 생각과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평면거울 하나와 오목 거울 한 개를 엇갈려 뒀을 때 상이 명확하게 비친다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 오목거울을 이용했기 때문에 상은 거꾸로 맺혔습니다. 오목거울은 빛의 반사 법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상이 반대로 맺히기 때문이지요.다른 사람의 초상화를 그릴 ...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외과 의사이자 해부학자인 줄리어스 울프는 많은 사람의 뼈를 해부해 본 결과 패턴을
발견
했다. 그리고 1892년에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된다는 ‘울프의 법칙’을 발표했다. 뼈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최적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엄밀한 증명이 있었던 건 아니고,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만든 배터리를 사용하면 재충전할 때 전자를 포획하는 능력이 점차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
했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황 분자가 고리를 이뤄 리튬과 사슬 형태로 연결되는 부위가 많아지면서 전하를 띤 기자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전극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마그마는 주변 맨틀과 만나면 서로 섞여 새로운 암석을 만든다. 그러나 백두산에서
발견
된 포획암은 달랐다. 검은색 현무암질 암석 속에 옥색의 감람암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었다. 감람암은 맨틀의 주된 구성 물질이다.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하며 기초과학을 배웠지만 맨틀이 옅은 초록색을 띤다는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먼저 첫 번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피복 겉에 불을 붙였다. 현장에서
발견
된 연소 흔적과 모양새가 달랐다. 현장 잔해처럼 피복이 바깥 방향으로 말리거나, 직접 타지 않은 부분이 수축하는 등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충진제를 꺼내 열을 가했다. 화재를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상의 가지가 뻗어나갈 때 원래 줄기나 각 가지의 굵기에 따라 각도가 달라지는 현상을
발견
했다. 그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하천은 조금 다르다. 물길이 흐르다가 장애물을 만나면 옆으로 휘돌아 간다. 저항이 가장 적은 곳을 골라 가는 것이다. 나무뿌리가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가장 자주 관찰된 사냥 도구는 흰개미 낚시 도구다. 침팬지와 고릴라 무리에서 자주
발견
된다. 흰개미 낚시의 핵심은 개미 집에서 개미를 외부로 꺼내는 일이다. 흰개미가 있는 곳까지 구멍을 낼 수 있는 단단한 나뭇가지와, 나뭇잎을 제거하고 끝을 이빨로 물어 여러 갈래로 만든 개미 낚시용 ... ...
[과학뉴스] 케플러, 외계행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발표했어요. 그 결과, 지금까지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총 1284개의 새로운 외계 행성을
발견
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 행성들 중 지구와 크기가 비슷한 것이 548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이 9개였지요.외계 행성 탐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16년 말이면 활동이 끝나게 돼요.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