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은 모두 곡선이었다. 세상은 굽어 있었으며, 사람이 만드는 물건도 하나둘 구부러지고 있다. 고정관념을 떨치고 만들어질 구부러진 미래의 모습이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초 과학계는 중력파의 발견으로 떠들썩했다. 많은 사람이 노벨 물리학상은 중력파 연구가 받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노벨 물리학상은 중력파가 ... 밝아진다고 한다. 바로 홀데인 교수의 부인이 프랑스 사람이라 프랑스어로 대화하는 건 집에 오라고 부르는 것이기 때문! 회의 끝~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얼마 만에 공을 자유자재로 돌릴 수 있을까요?“운동 신경이 좋으면 공 3개로 돌리는 건 하루, 4개는 한 달, 5개는 1년 정도 걸려요. 하지만 저는 5개 돌리는 데 4년이나 걸렸지요. 하하.”저글링을 잘 하려면 무엇보다도 끈기가 중요하대요. 두세 시간 연습해서 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포기하지 말고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 주변에는 산소 치료기처럼 원기둥 모양인 물건이 많습니다. 놀랍게도 그 물건은 공통적으로 안에 무엇인가를 담는 용도로 씁니다. 뭔가를 담는 통인데 왜 원기둥으로 만들까요? 그 이유가 궁금하지 않으세요?세 번째 미션, 동무생각혹시 ‘동무생각’이라는 노래를 들어보셨나요?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살았는데…. 저기 뒷집에 사는 고슴도치랑 프레리독이랑 사막여우도 먼 곳에서 바다를 건너 왔다고 하더라고요. 우리가 바깥 세상에 나가면 사람들은 물론이고 이 땅에 아주 오래 전부터 살았던 동물과 식물들이 아주 싫어할 거래요. 민폐를 끼치고 싶진 않은데, 본의 아니게 그럴 일이 생길까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쫓아 내거나, 큰 몸집으로 이성에게 어필하기에도 유리하다.하지만 큰 몸집이 좋기만 한 건 아니다. 몸집이 너무 비대하면 뼈나 관절에 문제가 생기거나 혈액이나 호르몬이 잘 순환하지 못하는 등 생리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너무 커진 바람에 잘 뛰지 못해서 포식자에게 금방 잡아 먹히거나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식기를 비비는 등 온갖 종류의 성적 행위를 악수나 포옹만큼 일상적으로한다. 독특한 건, 암컷들간의 성적 행동이 암수 사이의 행위보다 훨씬 잦다는 점이다. 보노보 사회가 암컷 위주의 사회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행동 자체가 서로를 알아가고 관계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자, 신뢰를 표현하는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공부하고 문명에 대한 책을 쓰는 등, 인생의 큰 선택을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건 내 안의 호기심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과연 인류의 과학문명에 또 어떤 질문을 던질까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떼겠다고 하지 않았나요?”나는 얼마 전에 읽은 기사를 떠올리며 그렇게 쏘아붙였다.“그건 갤럽 회장이 생각이 짧아서 그런 거죠. 여론조사는 미래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될 겁니다.”아아, 그러세요? 그러십시오. 나는 이제 대꾸하는 것조차 귀찮아 휴대폰 화면만 들여다보았다. 그런데 센서스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양서류가 급격한 속도로 줄어들고 있지요.하지만 이러한 멸종 속도는 추정일 뿐 정확한 건 아니에요. 그래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1964년부터 전세계의 야생 생물을 관찰해 어떤 지역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보전 상태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한답니다. 그 결과에 따라 매년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