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01
몇째자리까지 확인해야 하는 점수로 뽑을 이유가 없었다”며 “수능에서 실수로 한두
개
틀린 것이 당락을 결정하는 것보다 실수에 도전할 줄 아는 학생을 뽑는 게 포스텍의 미래 비전과 합당하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학생 전원 입학사정관제도 선발을 결정한 당시 우려도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비바람이 거세게 일더니 역시 하늘로 올라갔다.’그런데 갑자기 비바람이 불면서 천둥 번
개
가 치기 시작 하는 거야. 그러더니 조선왕조실록에서 쓰여 있는 것처럼 용이 승천하는 모습이 보였어. ‘용이다 용!’ 하고 나도 모르게 소리쳤지. 그런데 알고 보니 용오름이라는 기상현상이지 뭐야! 용이 ... ...
보기에도 몸에도 좋은 새싹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좋고 변비
개
선. 메밀싹 혈관 질환과 비만
개
선. 보리싹 혈압 낮추고 빈혈과 당뇨병
개
선. 겨울에 새싹채소를 기르면 좋은 점이 또 있어. 겨울에는 아주 건조해서 건강이 나빠질 수 있잖아. 그런데 콩나물 같이 물을 넉넉하게 주는 새싹채소를 기르면 집안의 습도를 적당히 유지시켜 주는 가습기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01
부른다.이런 충돌은 대략 4000년에 1번 꼴로 일어날 수 있다. 2011년 12월 16일 기준으로 1274
개
의 소행성이 PHA로 등록돼 있으며 계속 늘고 있다.가장 유명한 PHA는 2004년 발견된 ‘99942 아포피스’다. 지름이 270m인 이 소행성은 지구궤도에 0.00025천문단위까지 접근한다. 2004년 궤도 계산 결과 2029년 4월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01
신호가 독립적으로 여러 번 나왔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논평했다.[2011년 12월 13일 공
개
세미나 현장. 이 자리에서 CMS와 ATLAS의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빠르면 올해… 그 이후는?물리학자들은 예상하던 결과였다는 반응이다.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이라는 책을 쓴 이강영 건국대 물리학부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01
알아낼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럴 만도 한 게 그 안에 들어있는 원자의
개
수가 무려 1024
개
나 된다. 아쉽게도 실리콘 공은 인간이 만든 가장 둥근 공도 아니고 새로운 1kg의 정의로도 뽑히지 못했다.전자로 뒤집힌 승패여기까지는 중성자별보다 완벽한 구를 만들어낸 인간이 자연보다 앞선 듯 했다.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01
끓는다포장지의 비밀을 밝히려 찾아간 고등광기술연구소는 사실 ‘초고출력레이저’를
개
발한 곳으로 더 유명하다. 초고출력레이저도 다른 레이저와 마찬가지로 빛을 증폭시켜 만든다. 하지만 사진기 플래시 같이 강한 빛을 내는 펄스 레이저는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빛이 모이면 레이저 발생장치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01
공부를 어떻게 하고 세상을 보는 안목을 어떻게 키워나갈 것인지를 써야지.”자기소
개
서에는 스스로 자신의 부족한 점을 메우기 위한 계획을 쓰는 것이다. 잘못하는 것을 일부러 빼고 숨길 필요는 없다. 학생이니까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다만 단점을 인정하고 이것을 노력으로 극복하고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01
오케스트라 같은 풍경이다. 두 요트 모두 배가 하나의 나무판으로 된 게 아니라 여러
개
의 긴 나무를 이어서 만든 배라서 손이 많이 간다.열기구도 띄워볼까? 독창적 바구니기자가 학교를 찾았을 때 자항연 교실 한쪽에서는 2011년 12월 2일에 열렸던 축제 준비가 한창이었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1
차량의 숫자도 엄청나다.금문교에는 큰 특징이 있다. 바로 교각이 양쪽 끝부분에 두
개
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교각 사이의 거리가 무려 1280m이다. 그렇다면 다리의 중간부분을 지날 때 다리의 상판이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지지 않을까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 이 다리는 현수교이기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