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인쇄 속도를 수 분으로 단축시켰다”고 말했다. 카본3D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
상용
3D프린터보다 25~100배 정도 인쇄 속도가 빠르다”고 밝혔다. CLIP으로 인쇄한 10cm 에펠탑 조형물(왼쪽)과 길이 25cm 정도의 신발 밑창 조형물(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연구팀은 CLIP을 이용해 실제로 높이 10cm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개발이 가능하다”며 “복잡한 소자 제작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
상용
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4일자에 게재됐다.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위해 회로를 3차원 입체로 구성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제조공정이 복잡해
상용
화에 한계가 있었다. 박 교수팀은 단 한 번의 공정으로 다양한 길이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반도체 소자로 자주 쓰이는 산화아연을 가공할 때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 ...
장 속 가스 보면 질병 안다
2015.03.13
세균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수소가스 농도가 다시 증가했다. 하지만 센서가 실제로
상용
화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 걸림돌도 있다. 김 연구원은 “질병에 따라 어떤 가스가 어느 정도로 증가하는지 더욱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가스 센서는 계속 데이터를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표면적이 넓어 2차원 고분자 분리막에 비해 더 효율적이지만 제조과정이 까다로워
상용
화가 어려웠다. 김경택 울산과기대(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장마철 수준의 높은 습도가 조성된 환경에서는 3차원 고분자 분리막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물에 잘 ... ...
130인치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상용
화 난제 해결
2015.03.10
이주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사진) 팀이 8세대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판 생산에 필요한 증발증착기술을 개선했다고 10일 밝혔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OLED는 유기화합물을 자체 발광시키는 방식으로 현재 사용 중인 발광다이오드(LED)보다 자연광에 더 가깝다. 하지만 ... ...
반도체 칩에 인간 심장세포 넣은 바이오칩 개발
2015.03.10
교수는 “이 바이오칩이 궁극적으로 동물실험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이 기술이
상용
화되면 평균 50억 달러(약 5조5500억 원)가 들어가는 신약개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그래핀이 안 된다면 이 물질로?
2015.03.08
물질 중 열과 전기를 가장 잘 전달하지만 전기 흐름을 제어하는 반도체적 성질이 부족해
상용
화가 더딘 상황이다. 연구팀은 화학적 합성법을 통해 탄소와 질소가 일정한 비율로 섞인 새로운 2차원 구조체(C2N-h2D)를 개발했다. 이 구조체를 주사터널링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래핀과 달리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KAIST가 개발한 온라인전기버스(OLEV)도 자기공진 방식을 이용했다. - 동아일보 제공 KAIST가
상용
화를 추진 중인 ‘무선충전전기버스(온라인 전기자동차)’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됐다.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전송거리를 늘리는 대신 대용량 전기를 전달하기 유리하도록 ‘자기공진형상화기술(SMFIR)’을 ... ...
‘아이 콘택트’하며 화상통화 가능해졌다
2015.03.04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의 전송효율을 보완해 초당 30장 수준까지 발전시키면 2년 이내
상용
화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맞춰 개발을 마치고 ‘스마트 월(Smart-Wall)’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인에 선보일 예정이다. 김 실장은 “이 기술은 화상회의는 물론 영상전화나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