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헬기처럼 수직이착륙… 최대시속 240km 쌩∼
동아일보
l
2015.04.14
최근에는 중국의 부상이 두드러진다. 세계 7위권의 무인기 기술을 보유한 한국은 TR-60
상용
화를 계기로 고급 무인기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주진 항우연 항공연구본부장은 “한국의 무인기 기술은 세계 최상위국과 3∼5년 정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지만 향후 5년간 집중 투자하면 세계 3∼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
2015.04.12
스마트먼지 ㎥의 모습 - 미시건대 제공 쌀 한 톨 만한 컴퓨터를 미국 연구진이 개발했다. 피부 밑에 삽입하면 각종 생체정보 분석이 가능하고 각종 도구에 부착해 전자장비 기능을 덧붙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데니스 실버스텔러 미시간대 전자컴퓨터공학연구소(EECS) 교수팀은 10년 간 연구 개 ... ...
PDF문서에 숨은 개인정보, 클릭 한 번에 지우세요
2015.04.08
등 6개 기관에도 무상으로 기술을 이전해 활용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의
상용
화를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신 연구원은 “전자문서 형태의 정보 공개가 필요한 기관에서 필요한 기술”이라며 “문서작성에 자주 쓰는 아래아한글(HWP), 마이크로소프트워드(doc)를 비롯해 웹 언어인 ... ...
단 1분 만에 충전, ‘꿈의 배터리’ 나온다
2015.04.07
적합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하지만 충·방전을 반복할수록 전압이 낮아지는 문제가
상용
화의 걸림돌이었다. 연구팀은 전지의 음극을 알루미늄으로, 양극을 그래핀으로 만든 알루미늄 전지를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만들었다. 기존 알루미늄 전지는 충·방전을 100번 거치면 전압이 떨어졌지만 ... ...
플라스틱에 그래핀 섞어 공기 차단 성능 240배 ↑
2015.04.07
차세대 첨단소재로 불린다. 하지만 그래핀이 고분자재료와 잘 섞이지 않는 성질이 있어
상용
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연구팀은 이 문제가 그래핀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첨가물(산화환원제) 때문인 것으로 보고 새로운 첨가물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진이 만든 첨가물을 그래핀에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부어도 표면을 적시지 못하고 튕겨 나왔다. 그 뒤 연구자들은 SLIPS의 내구성 확보 등
상용
화 연구를 진행했고 지난해 6월 SLIPS테크놀로지라는 회사는 세웠다. 지난해 10월 SLIPS테크놀로지와 화학업계의 거인 바스프는 SLIPS가 코팅된 열가소성수지를 만들기로 계약을 맺었다. ● 거미줄보다 단단한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5.04.07
연구의 중심국가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세계적으로
상용
화된 줄기세포 치료제 5종 중 4종이 국산일 정도로 생명과학 분야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동아사이언스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 4월 현장 취재는 모든 생명체의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 ...
“2020년까지 그래핀 핵심기술 85개 확보”
2015.04.07
추진된다. 정부는 기술 수준과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6대 응용제품을 선정해 조기
상용
화를 집중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6대 응용제품에는 전자파 차폐용 필름, 고기능성 배리어 복합필름, 터치 패널용 필름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2017년 전자파 차폐용 필름 분야에서 처음으로 가시적인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리튬이온전지보다 출력이 높고 충·방전도 빠른 장점이 있지만 아직 에너지 밀도가 낮아
상용
화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때문에 학계에서는 전극을 대체해 밀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 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을 사용해 배터리를 제작하면 전기자동차로 장거리 여행도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
2015.04.03
데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제작 공정은 대량 생산에도 유리한 만큼
상용
화에서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보다 우리가 가장 앞섰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한 열전 소재 - 이우상 기자 idol@dong.com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