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실제 사람으로 착각할지도 몰라요. 가상현실의 진가는 교육용 VR!VR이 교육과 만나면 더
큰
시너지를 냅니다. VR 시뮬레이터에 타고 바닷속에 들어가 AI로 만든 바다거북을 만난다고 상상해 보세요. 동물을 책이나 영상으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반려동물을 대하듯 직접 만지고 먹이를 주며 서로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듀밀-코핀 교수의 이번 필즈상 수상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는 두 업적 뒤에 지도 교수가 있어서지요. 만약 이 모든 걸혼자 했다면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지만, 이미 대가로 평가받는 스미르노프 교수와 함께 했다고 하니 필즈상을 받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실험자 수가 적어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아이유 광고’도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큰
호응을 얻었다. 한편 ASMR이 전두엽, 후두엽과 관련 있다는 사실은 해외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스티븐 스미스 캐나다 위니펙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평소 ASMR을 느끼는 사람 11명과 그렇지 않은 사람 11명을 대상으로,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분석해보면, 분야별 북한의 기술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가장
큰
문제는 열악한 인프라와 관련 기술 부족”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남한의 기술과 북한의 자원이 만난다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남북이 광물자원 개발 협력 분위기를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3월 26일자에 게재됐다. ‘근사계산’ 기법으로 연산 한계 개선이번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느린 연산 속도가 단점으로 꼽히던 동형암호를 실시간 제어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이다. 심 교수는 “이번에는 가장 간단한 제어 기법을 사용한 만큼 지금부터가 시작”이라며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by 2060(No More Neglected disease by 2060)’이라고 이름도 지었습니다. 뎅기열이나 결핵이 특히
큰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질병들을 해결하는 데 도전해 성공시키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생명정보학 도전 과정이 자기소개서로이렇게 꿈을 구체화시켜 나간 과정을 고스란히 자기소개서에 담았다.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점을 잊어버리기 전에 꼼꼼히 기록해 뒀던 점도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꿈꾸던 기계공학전공에 입학해서 이제 한 달을 보낸 김씨의 꿈은 처음으로 공학에 대한 흥미를 일깨워준 생체모방기술을 연구하는 것이다. 김 씨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을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어둠 속의 사냥꾼 수리부엉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부문에서는 수리부엉이가 1등을 차지했지요. 수리부엉이는 부엉이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종이에요. 야행성이라 해가 지고 어둠이 몰려오면 본격적으로 사냥에 나서지요. 뛰어난 청력과 시력으로 먹잇감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조용하고 재빠르게 먹잇감에 접근해 사냥에 성공한답니다. 깃털에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번식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똥에 몰려드는 해충을 줄여 주는 데도 소똥구리가
큰
역할을 해요. 대표적인 사례가 호주와 뉴질랜드의 ‘소똥구리 프로젝트’지요. 원래 이곳에 살던 원주민들은 소를 기르지 않았어요. 그런데 유럽 사람들이 호주로 이주하면서 많은 수의 소를 들여와 키우기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승부가 난 곳을 제외한 다른 틱택토의 빈칸에 ◦ 또는 ×를 표시해야 합니다. 결국
큰
틱택토에서 먼저 삼목을 만드는 사람이 최종 승자가 됩니다. 슈퍼 틱택토에서 항상 이길 수 있는 전략은 아직 모릅니다. 2013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생이었던 에이탄 리프쉬츠와 데이비드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