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1969년 6월 첫 TV시리즈가 종영되고 나서 바로 그 다음 달인 7월 20일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
로 달에 발을 내딛은 역사적인 타이밍도 한몫했지만, 아무튼 ‘스타트렉’이 일반 대중들에게 각인시킨 ‘과학기술적 프런티어’의 이미지는 상당히 깊고 뚜렷했다. ‘합리적이고 진취적이며 건전한 ... ...
머리카락보다 작은 미로를 탐험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단백질은 시냅스를 만들고 살름이 시냅스를 작동시킨다는 사실을 김 교수가 세계
최초
로 규명한 것이다.박사후 연구과정의 최정훈 연구원은 “시냅스생성의 메커니즘은 아직도 미지의 세계가 많다”며 시냅스의 미로를 탐험하느라 더위도 잊고 있다 ... ...
별이 쏟아지는 하늘을 내 방에 “홈스타”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는 집에서도 손쉽게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만든 휴대용 천문관으로, 세계
최초
의 가정용 플라네타리움이다.슬라이드 트레이에 필름을 넣고 빛을 쏘면 2m 정도 떨어진 벽이나 스크린에 필름의 영상이 투사되는 방식으로, 일종의 슬라이드 환등기다.필름은 항성판과 별자리판 두 가지로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호를 방문해 “당신들 앞에 있는 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안정된 상태에 있는
최초
의 웜홀(wormhole)이에요!”라며 바르잔의 웜홀을 팔겠다는 장면이 나온다. 웜홀은 우주의 먼 두 지점을 연결하는 일종의 시공간 터널로 장거리 우주여행에 자주 이용된다. 음의 에너지로 웜홀을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서구 문명의 정복수단이 되기도 했다. 107년 전 이 땅에 철마 태어나다우리나라
최초
의 철도인 경인선은 미국인 기업가 모스(Morse)가 1896년 3월 29일 획득한 서울 ~인천의 철도부설 특허권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모스가 획득한 경인철도 부설권은 우여곡절 끝에 일본이 넘겨받아 다음 해인 3월 22일 인천 ... ...
움직이는 3차원 홀로그램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빛을 쪼였을 때 절연체이던 물질에서 만들어지는 공간 전하장을 측정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
로 개발했고, 홀로그램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실험에서도 세계 어느 연구팀보다 선명하고 사실적인 영상을 얻었다.광굴절 재료의 효용은 무궁무진하다. 3차원 디스플레이 외에도 광굴절 재료를 활용하면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일반적으로 근시일 경우 안경 디옵터의 절대값이 클수록 시력이 더 나쁘다고 할 수 있다
최초
의 X선 관측위성으로 1970년 케냐에서 발사됐다 본 이름은 소형천문학위성 1호(SAS-1)다 그러나 케냐의 독립기념일에 발사됐기 때문에 스와힐리말로 '자유'를 뜻하는 우후루라는 이름을 얻었다도룡뇽과에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무엇인지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해 병원체를 추적한다. 이를 ‘역학조사’라고 한다.
최초
로 역학조사를 한 사람은 영국의 의사 존 스노였다. 콜레라균이 알려져 있지 않던 1845년 런던에서 집단 콜레라가 발병하자 스노는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환자를 조사해 원인을 찾았다.그 결과 우물에서 물을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선발하면 한 품종 개발에 12년이 걸리던 육종기간이 크게 줄어든다.김 교수팀은 세계
최초
의 고추 유전자은행인 BAC(세균인공염색체,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은행을 작성했다. BAC 은행이란 DNA를 10만 염기쌍 크기로 나눈 조각으로 유전자지도를 그리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고추의 유용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마리아나해구의 수심 1만910m까지 들어간 예가 있다. 소설이 완성되고 2년 뒤
최초
의 심해 탐사인 챌린저 탐험(1872~1876년)이 진행됐다. 당시로는 가장 깊은 8180m 수심을 측량해 챌린저해연이란 이름을 붙였다.19세기 중엽 영국의 박물학자 에드워드 포브스는 수심 500m가 넘는 심해에는 빛이 거의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