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무중력 상태예요. 그래서 지구 위에서 할 수 없는 과학실험을 할 수 있답니다. 그럼 한국
최초
우주인이 우주에서 할 실험 후보들을 미리 살펴볼까요?1 무게가 없어서 모든 것이 둥둥 뜨는 우주 공간에서 물체의 질량은 어떻게 재야 할까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우주에서도 질량을 잴 수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눈에 보이는 빛 대신 전자빔을 이용하면 수백만 배까지 물체를 확대할 수 있다. 1953년
최초
로 전자현미경을 만든 독일의 물리학자 루스카는 그 공로로 198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더 작은 세계로 나아가려는 인류의 도전도 계속되었다.나노의 세계를 여행하는 원자현미경전자현미경에서 더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거듭한 끝에야 비로소 사람과 같은 형태의‘휴머노이드’를 만들어 낼수 있었답니다.
최초
의 두발보행 로봇은 1973년 일본에서 만들어진‘와봇’입니다. 하지만 와봇은 인간처럼 보이는 로봇은 아니었지요. 로봇도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혼다에서‘아시모’, 소니에서‘큐리오’를 개발해 사람과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환신 작가와 울고 웃으며 강민의 우주인 도전기를 만들어 나가던 도중 한국
최초
우주인 선발소식을 듣고, 도전하기로 했지요.3.5km를 23분 안에 달리는 체력시험(여자는 28분)은 꾸준히 운동을한덕분에 통과할수있었어요. 앞으로 남은 시험에서도 끝까지 최선을 다 할 거예요. 응원해 주세요~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덕분에 탄생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역시 무기 덕분에 탄생했다.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
의 인공위성‘스푸트니크 1호’발사에 성공하자 미국은 두려움에 떤다. 인공위성 기술을 이용해 미국의 정보망을 마비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곧 미국은 정보망이 마비되어도 각 컴퓨터끼리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실패했단다. 그러다 2004년 일본의 한 과학자가 수중카메라로 대왕오징어를 촬영하는 데
최초
로 성공했지.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깊은 바다 밑에는 무서운 괴물이 살고 있다고 상상했어. 그 당시 바다는 캄캄한 우주만큼이나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거든.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하필 거대한 연체동물을 ... ...
자기력 체험관 '다부터피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세계
최초
로 자기력을 주제로 한 체험관이 열렸다. 자기력 체험관의 이름은‘다부터피아’. 자기력에 관한 세계적인 물리학자인‘몽조리 다부트라’박사가 관장이었다.역사적인 개관식이 열리는 날.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설치해 놓은 전시물이 하나둘씩 망가져 작동하지 않았다. 몽조리 다부트라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조합하여 9배 배율의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리고 목성, 금성, 달 등을 관찰하여 인류
최초
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한 사람이 되었다. 그 후 그는 배율 20배의 망원경을 만들어 달의 표면이 울퉁불퉁하다는 것과 목성 주위에 네 개의 위성이 돌고 있다는 것, 그리고 태양면에 흑점이 있다는 것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 30~35년 대장을 지냈다 1510~1558 영국의 수학자 그의 저서《지식의 숫돌》(1577)은 영국
최초
의 대수책이다산수책 《제술(諸術)의 기원》(1540~42경)은 1601년까지 18판을, 그후에 다시 11판을 거듭 했다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N 코페르니쿠스의 태양계설을 지지했다 기하학에 관한 책으로는 《지식의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사이에 감정적인 균열이 생겨 집단생활이 어려워질 소지가 다분하다. 1992년 미국
최초
의 부부 우주비행사인 마크 리와 제인 리는 우주공간에서 성행위를 실험했지만 귀환 후 의료진과의 인터뷰에서“성교를 하기가 어려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2000년 프랑스의 한 우주비행사는‘최후의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