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안혜연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SW 업계에서 성장 원동력은?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없다는 장점이 있어요. 새로운 분야를 공부한다는 것 자체로도 정말 흥미로운 일이고요. 우리가 SW 기술을 이용하는 한 보안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질 테니 보안 업계의 전망도 매우 밝아요. 자신에게 맞는 SW 회사를 어떻게 찾나요?우선 현장으로 가는 게 중요해요. SW 분야가 매우 넓으니 직접 ... ...
- 나라를 구한 의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위해 필수라고 주장한 사람도 있어요. 바로 안창호 선생의 동서인 김창세 박사지요.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보건학 박사로 1913년 세브란스 의학교를 졸업한 후, 의료활동뿐 아니라 교육에도 집중했어요. 1920년 2월, 임시정부의 대한적십자회 내에서 독립군을 치료하며 독립운동에 앞장설 간호원들을 ...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비법! 아크릴판과 브레드보드를 활용하라 ● 미션1. 아크릴판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리가 흔히 ‘아크릴’이라고 부르는 ‘PMMA’은 유리처럼 투명하면서도 유리보다 10배 이상 강한 플라스틱이에요. 유리는 깨졌을 때 날카로운 파편들이 생기는 반면, 아크릴은 큰 덩어리로 쪼개져 더 안전하답니다. ... ...
-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알리는 일이에요. 저는 이런 활동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과학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움직이는 동력이자 핵심 교양이기 때문이지요. 종교가 동력이던 중세 사람들이 종교를 핵심 교양이라고 여긴 것처럼요. 요즘 이 세상의 이치를 이해하게 만드는 교양은 과학이에요. ... ...
- [화보] 지구에서 깊은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은하(M31)를 24시간 동안 촬영했다. 올해 2월 중국과학원 국가천문대(NAOC) 연구팀은 우리 은하의 중심부는 평평하지만 중력이 약한 바깥쪽은 휘어진 형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안드로메다 은하에서도 그런 휘어진 형태를 볼 수 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 대상으로 뽑혔다. 이번 대회 ... ...
- [스승의 날] 우리 과학 선생님을 취재해 주세요과학동아 l2019년 05호
- 5월호 과학동아 10권, 수학동아 5권을 보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Intro. 우리 과학 선생님을 취재해주세요과학은 즐거움이다_하우영 진주 무지개초 교사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대전외삼중 교사과학은 이해다_정종태 경산 무학고 교사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안양 부흥고 ... ...
- [정수론 어벤져스] 골드바흐의 추측 공략법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추측을 증명하기가 어려운 이유는 우리가 소수가 언제 등장하는지 아직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전세계의 수학 히어로들은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그 노력의 결과로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은 2013년에 증명됐죠. 어떤 전략인지 ... ...
- [수동TV] 놀라운 수학 선생님대회, 매스타킹!수학동아 l2019년 05호
- 탓에 학생들이 도움을 받지 못할까 봐 걱정됐는데 막상 평소에 열심히 활동해서인지 우리 아이들이 뒤처지지 않더라고요. 저는 그 뒤로 연수도 다니고 하면서 토론 이론을 좀 더 공부했어요. 반면 수학 관련 도서로 깊이 있는 독서 토론을 진행할 수 있다는 건 강점이죠.학생들이 책과 체험을 통해 ... ...
- [따끈따끈한 수학] 큰 수의 곱셈을 더 빠르게, 쇤하게-슈트라센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최근 두 수학자가 아주 큰 수를 곱하는 가장 빠른 방법을 찾았습니다. 12+23을 계산할 때 우리는 어떻게 하나요? 2+3=5를 먼저 계산하고, 1+2=3을 구해 답을 찾습니다. 즉 한 자리 숫자 덧셈을 2번 합니다. 물론 12+29처럼 받아 올림이 있는 경우는 조금 더 계산합니다. n자리 숫자의 덧셈은 어떨까요? 받아 ... ...
- 최고의 데이터 요리사는 누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있거든요. 대중교통 이용 시간, 연령별 선호하는 편의점 상품, SNS 접속 시간 등 곳곳에서 우리가 남긴 정보가 데이터로 기록되고 있죠.누구나 인터넷을 이용해 다양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만큼 데이터 자체보다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