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비교해서 더 자주 먹는 몸을 타고난 건 아니다. 그런데 인간과 다른 잡식동유도물 사이에 소화생리학적 유사함을 뛰어넘는 큰 차이점이 하나 있다. 바로 인간의 ‘의지’다. 인간은 본능적 반응을 조절하는 의지력이 탁월하다. 맛있는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열량 섭취가 많아져도 더 먹고자 한다.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부근에서 진행 중인 진동변환 측정 실험에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세 종류의 중성미자 사이에 일어나는 변환에는 변환 세기를 나타내는 세 종류의 상수가 존재한다. 이 상수는 θ23, θ12, θ13라는 세 각도로 표시한다. 이번 노벨물리학상의 업적인 진동변환 발견을 통해 카지타 교수는 θ23, 맥도널드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소수의견이었다. 그런데 최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대 마크 콜라르 교수팀은 20여 종의 고인류 머리뼈 화석을 연구한 결과를 ‘영국왕립학회보B’ 7월 22일자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병을 앓은 현생인류가 아니라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숫자를 여러 번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김 교수는 “천원술은 오늘날의 학자들 사이에서도 굉장히 발전된 형태의 풀이법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세종 때 가장 수학 흥해조선시대 수학이 가장 많이 발전한 건 세종대왕시절이었다. 김교수는 “조선시대, 특히 산학이 크게 발전했던 세종 ... ...
- 전통의 색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고풍스러운 느낌을 자아냅니다. 저는 마곡사 대광보전 내부의 단청과, 구불구불한 나무 사이에서 존재감을 빛내던 개심사 대웅전의 단청이 특히 기억에 남네요.맥 끊겨 가는 전통안료 연구 잇는다단청은 전통 건축물 표면을 장식하는 전통 문양과 색이지만, 재료까지 전통적인 것은 아닙니다. 현재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난해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제이미 길로리 교수팀과 페이스북 코어 데이터 사이언스팀은 직접 접촉이 없이도 정서가 전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실험에 참가한(정확히 말하면 참가‘된’) 피실험자 수는 68만9003명으로, 실험은 2012년 1월 11일부터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광학통신 기술을 사용하면 통신속도를 현재보다 5배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럼 위성 사이의 거리를 지금보다 더 벌릴 수 있죠.”위성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야인공위성 수만 많다고 다가 아니다. 원활한 심우주통신을 위해선 지연허용망(DTN)이라는 새로운 통신기술이 필요하다. 지구에서는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마이야르에 의해 발견됐어요. 이 반응은 음식물 속에 들어 있는 당과 아미노산 화합물 사이에 일어나는 화학 반응이에요. 대부분의 음식물에는 당(탄수화물)과 아미노산(단백질)이 들어 있어요. 따라서 거의 모든 음식에 열을 가하면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나면서 갈색을 띠는 화합물과 수많은 향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높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도 큰 의미가 있다.광복 70년을 맞이한 뜻 깊은 해에 헤이그 특사이며 독립운동가로만 익숙했던 이상설이 근대 수학을 깊이 이해한 선각자이고, 특히 한국의 정규 교육과정에 최초로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했으며, 근대 수학 교과서를 최초로 쓴 탁월한 수학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내고 다음날 새벽까지 프로그램을 짠다. 페이스북의 ‘좋아요’ 기능도 바로 이 하룻밤 사이에 나왔다.우리나라에서는 구글코리아가 2011년 12월 처음 ‘구글 개발자 해카톤’을 열었다. 1등은 아이폰의 인공지능 자동응답 서비스 ‘시리(Siri)’처럼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배우기도 하는 SW인 ‘고리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