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돌아가는 ‘물레방아’나 종소리 연주를 하는 ‘음악의 거리’, 다람쥐처럼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히든 브릿지’ 등 잣나무 숲속 곳곳에 다양한 전시물들이 숨어 있어요. 이곳의 모든 전시물들은 어메이징파크를 기획한 장상빈 관장님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졌답니다.뚝딱뚝딱~,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바로 이때 ‘뚜두둑’ 하는 소리가 나는 거예요.이번 연구 결과로 손가락 관절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소리가 난다는 상식이 뒤집혔어요. 또한 습관적으로 손가락 관절을 여러 번 꺾더라도 관절에 상처가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강철보다 20배 강한 인공거미줄강철보다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성격, 자라온 환경 등을 적는다. SF인지 추리인지 등 글의 장르를 고르고, 등장인물 사이의 갈등과 결말을 적는다. 그러면 앞으로 이야기가 어떻게 펼쳐질지 예측해 주는 것이다. 작가는 이를 보고 내용이 너무 뻔하거나 처음 의도와 다르면 글의 내용을 수정한다. 이야기가 재미있다면 여기에 살을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전에 아웃되는 것을 포스아웃이라 한다.]야구 속 ‘게임이론’수비수가 1루와 2루 사이에 몰려 있다면, 왜 수비수가 한 명밖에 없는 3루 쪽으로 밀어치지 않는 것일까? 아니면 번트를 댈 생각은 하지 않았는지 의문이 든다.보스턴 레드삭스의 좌타자 데이비드 오티즈는 극단적으로 당겨 치는 타자로 ...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원형 유물 복원에 앞서 원의 중심과 현의 수직이등분선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 보자. 왼쪽 그림에서 보듯이 원의중심(O)에서 현에 내린 수선(h)은 그 현을 이등분한다. 또한 현의 수직이등분선 OM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그림은 신라 시대의 유물인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검증을 거쳐 논문으로 출판될 것으로 보인다. 수학자 출신인 세계적인 갑부 제임스 사이먼스가 가장 부러운 사람으로 타오 교수를 꼽을 만큼 현재 그는 세계 최고의 수학자다. 현대 수학에서는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한 수학자가 없는데, 그는 폭넓게 수학 연구를 하고 있다. 타오 교수의 다음 연구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방법이에요. 산 정상 부근에서 볼 수 있는 삼각점들로 삼각형을 만든 다음, 삼각점들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이에요. 또 이 거리를 이용해 삼각점의 위치를 좌표로 나타낼 수도 있어요. 이제 삼각측량을 어떻게 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삼각측량의 가장 큰 장점은 일일이 재지 않아도 거리를 ... ...
-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리델 가족과 친해져 시간이 날 때마다 가족과 어울렸다. 특히 리델의 둘째 딸인 앨리스와 사이가 각별했다. 그는 앨리스를 기쁘게 하려고 인형극과 마술을 배웠고, 여러 가지 게임과 퍼즐을 개발했다.앨리스가 10살이 되던 어느 날, 캐럴은 리델의 세 자매와 소풍을 떠났고 이때 즉석에서 동화를 지어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부근에서 진행 중인 진동변환 측정 실험에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세 종류의 중성미자 사이에 일어나는 변환에는 변환 세기를 나타내는 세 종류의 상수가 존재한다. 이 상수는 θ23, θ12, θ13라는 세 각도로 표시한다. 이번 노벨물리학상의 업적인 진동변환 발견을 통해 카지타 교수는 θ23, 맥도널드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2일자에는 마치 셜록을 흉내 낸 것 같은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사이먼 렉스 박사팀이 신발 밑창과 휴대전화에 붙어 있는 미생물을 분석해서 같은 장소에 방문했던 사람들을 가려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 열린 세 개의 학회 참가자 91명에게서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