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바다
가 육지에 비해 진화과정을 거칠만한 시간이 10억년 정도 더 있었으므로 이것이
바다
깊숙한 곳에 뜻하지 않게 풍부한 생물이 사는 요인이 됐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새롭게 부상하는 분야의 거대한 규모를 염두에 둔다면 환경보호론자들이 육지의 생태계에만 신경을 쓰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구만큼 작은 행성이 있을 수 있고, 행성의 달에
바다
가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두 행성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 만족하는 것같다. 어쨌든 이것은 시작에 불과한 일이다. 마시가 이끄는 팀이 새로운 60개의 별들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있는데,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살아갈 수 있었다.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인간의 활동 범위는 땅 뿐만 아니라 하늘과
바다
로 확장됐다. 넓은 활동 영역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게 됐으며 석탄과 석유와 같은 고발열량 화석연료를 사용하게 됐다.에너지원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석탄과 석유)는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심해환경 연구에 신경을 많이 쓰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심해저 자원 어떤 것들 있나_
바다
가 만들어낸 검은 황금바닷속 광물들은 자란다. 해수와 특수한 심해환경이 고품질의 금속광물을 만들어낸다. 어떤 매커니즘으로 검은 황금들이 탄생하는 것일까.망간단괴(manganese nodule)망간단괴는 70여종의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코너에 예쁜 리본을 매단 채 전시돼 아이들의 성취감을 더욱 높여준다.▲꼬마피카소 :
바다
속 물고기와 차창 밖의 사물, 비행기 곁에 날아가는 새들을 색칠할 수 있다. 성냥팔이 소녀와 미운오리 새끼 두 편의 동화가 점 잇기와 색칠하기가 끝나면 배경음악이 깔리면서 멋진 성우의 목소리로 내용을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인기가 높지만 빙질과 언덕 경사면의 눈이 좋지 못해서 오래 즐기진 못한다. 때때로
바다
낚시와 투망을 하지만 얼음이 수시로 밀려드는 곳에 닻을 내리고 고무보트 위에서 여유를 부리기는 쉽지 않다. 그래도 이러한 운동과 취미 활동은 월동대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윤활유 역할을 한다. 의사가 ... ...
1. '정보의
바다
'에는 암초가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것이다. 물론 한나라 내부에 있는 인터넷에는 자국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바다
를 건너는 경우에는 대부분 영어가 사용된다. 당연히 영어를 모르는 이들이 접근하기에 여간 까다로운게 아니다. 현재 인터넷을 사용하면서도 영어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하기 꺼려하는 국내 사용자들이 적지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머물며 본격적인 남극연구를 시작했다.세종기지에서의 연구는 킹조지섬 근처의 육지
바다
대기 생물 등을 살피는 일부터 시작됐다. 그동안 연구됐던 주요 내용을 보면 석유자원을 비롯한 지하자원, 해수의 특성, 바닷속에 사는 생물과 육지에 사는 동식물, 고층대기 등 다양하다. 지자기와 태양풍에 ... ...
29억년의 신비 화석으로 본 한반도 역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특히 포항 연일지역은 유공층 화석이 발견돼 석유 탐사가 계속되고 있다. 신생대에는
바다
에서 사는 동물화석이 발견되는데, 이것들은 삼각주와 같은 퇴적층에서 생긴 것들이다. 이밖에도 식물화석과 포유동물의 화석들이 발견된다.지금까지 각 시대별로 지층이 생긴 유래와 그때 살았던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하는데 보통 두께는 2백-9백m정도. 빙상은 빙붕이 깨져서 생긴 것을 말한다. 빙해는
바다
가 언 것으로 두께가 1-2m로 비교적 얇다. 사진은 빙하가 흘러내리는 모습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