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800만 명 정도가 본 셈이에요. 빨간 줄이 그어진 상영시간표가 보이죠? 인기가 많아 매진되었다는 표시예요.”'미러타워’의 큰 거울 뒤에는 거대한 ‘마스터 태권브이’가 우뚝 서 있었어요.“이렇게 큰 로봇은 태어나서 처음 봐요!”기자단 친구들이 탄성을 질렀어요. ‘마스터 태권브이’는 13m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번식하는 식물을 말해요.‘씨 종(種)’은 ‘벼 화(禾)’와 ‘무거울 중(重)’이 합쳐진 한자예요. 벼에서 가장 무거운 부분, 즉 씨앗을 의미하지요. 씨를 뿌리는 행동 자체를 일컫기도 해요. 여기서 ‘중(重)’은 음이 ‘종’으로 바뀌었어요. 물질이나 생물을 비슷한 것끼리 무리지은 ‘종류(種類 ... ...
- [과학뉴스] 헤어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효과를 내줘 남녀노소가 애용하는 미용 아이템이죠. 플라스틱이나 스펀지로 만들어진 전통적인(?) 제품부터 USB로 충전해서 열을 낼 수 있는 헤어롤까지 다양합니다.모양과 재질은 달라도 헤어롤의 목적은 한 가지, 원하는 모양대로 머리카락을 구부리는 것입니다.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갖게 된 것이 아니었다.풍동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롯데월드타워는 4면으로 이뤄진 사각뿔 형태로 상층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드 구조다. 건물의 단면 역시 모서리를 깎아내 바람의 소용돌이를 줄이도록 설계했다.현대자동차그룹이 공개한 GBC의 조감도를 보면 단면이 정사각형인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상관관계가 성립할까. 아직까지 산불과 해충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미국 연구진이 미국 숲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긴 어렵다. 이병두 연구관은 “한국은 재선충에 감염된 고사목을 바로 베어서 반출하기 때문에 산불과 해충 사이에 관련이 별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몸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 음식과 약을 함께 먹어도 될까. 최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는 먹는 약과 음식 사이의 상호작용을 정리한 ... com/articles/248787.php 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2009년 2월호)dl.dongascience.com/magazine/view/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규칙이 없는 0과 1의 나열일 뿐이다.여기서 1679라는 수가 중요하다. 73과 23의 곱으로 이뤄진 수인데, 이 두 수는 소수다. 따라서 이 메시지는 23×73 혹은 73×23 두 가지 직사각형으로밖에 나타낼 수 없다. 23×73으로 직사각형을 만들면 불규칙한 그림이 나오지만, 73×23으로 만들면 의미 있는 그림이 ...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6월에는 미국항공우주국과 우리나라의 공동 연구팀이 한반도 대기질을 분석했어요(위 사진). 또 지난 해 11월에는 한국, 중국, 일본 환경과학원장들이 만나 2019년까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하기로 약속했답니다. #흠…, 지금은 공기 팔 생각을 할 때가 아닌 것 같군. 깨끗한 ...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때부터 시작되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이번 연구 결과를 진화학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지요.저는 박사님을 도와 주러 가 봐야 할 것 같아요. 아쉽지만 다음에 또 만나요. 안녕 ... ...
- [과학뉴스] DNA로 만든 다이아몬드 구조 광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DNA를 나노입자에 붙이고, 이것들이 짝을 찾아 결합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탄소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결정의 3차원 구조와 같은 배열을 나노입자가 스스로 만들어내도록 했다. 다이아몬드형 광결정 구조는 넓은 범위에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어 1990년 소자로서의 우수성이 알려졌지만,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