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있기는 하지만 한 종류만 살고 있어 전통누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선임연구원은 “
진
짜 전통누룩을 만들려면 여러 미생물을 일정한 배합으로 길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맛있는 술을 만드는 미생물의 ‘꿀’ 조합을 알아내고, 이 조합을 술이 만들어질 때까지 유지해야 한다. 이를 ‘복합 배양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16/j.anbehav.2013.07.006)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최초로 ‘빵’ 터
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2016.3)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3N044‘십자매는 알고 있다’(2014.7)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전망은 매우 밝다.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되면 기회는 더욱 많아질 것이다.-Unique Tip
진
학가장 중요한 능력은 바로 꼼꼼함이다. 실험 결과를 꼼꼼하게 분석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섬세한 기기들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 꼼꼼하고 세심해야 한다고. 정 교수는 여기에 호기심과 적극성이 있으면 ...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수 있다. 동영상을 찾는 방법도 비슷하다. 찾고자 하는 사
진
또는 영상이 찍힌 장소 사
진
이 있으면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다.대부분의 웹 사이트는 개인 사생활 정보 삭제 요청을 받으면 정보통신보안법 443조 2항에 따라 삭제해 준다. 그러나 모든 사이트가 가능한 건 아니다. 다른 게시판에 써 놓은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없답니다. 특히 수학 문제에 관해서는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순이냐
진
리냐? 역설 정복의 꿈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
진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안타깝게도 저를 이기지 못했군요. 약속한대로 여러분의 재산 50%를 몰수해야겠지만, 기회를 한 번 더 드리겠습니다. 마방
진
대결에서 이긴 사람에게 면제권을 주겠습니다. 지금 제가 ... Intro. 워렌 버핏도 빠졌다! 필승 주사위Part 1. 물고 물리는 필승 주사위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
진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박물관과 과학관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룡 뼈화석들이 전시돼 있어요. 그 중에서도 실제 공룡의 뼈로 된
진
품 화석을 보면 당시 공룡들의 생태를 알 수 있지 ... 들어 있는 게 신기하지요? 앞으로 어과동 친구들이 척추고생물학자가 되어 공룡뼈에 숨겨
진
이야기를 발굴해 주길 기대할게요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또는 ‘함께’를 뜻하지요.‘울 명(鳴)’은 ‘새 조(鳥)’에 ‘입 구(口)’가 더해
진
글자예요. 새가 입을 벌려 우는 모양으로, 여기서는 ‘새 조(鳥)’가 닭을 의미해서 ‘아침을 울리는 닭의 울음소리’를 뜻한답니다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살아 있는 화석 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폭설이 잦아
진
것도 산양을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 있어요. 산양은 고무 같이 차
진
발굽 덕분에 가파른 절벽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요. 하지만 다리가 짧아 눈이 30cm 이상 쌓이면 눈 속에 갇혀 고립된 채 죽는 경우가 많답니다.산을 오르다 홀로 있는 아기 산양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위해 노력했습니다. 스타인버그의 추측 관련 에르되시 문제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진
척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타인버그의 추측은 계속 매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었지요. 그러던 2016년 봄 ‘스타인버그의 추측이 틀렸다’는 내용의 논문이 인터넷에 등장해 수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