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성공한 것은 미국의 마리너4호다(1964년 11월 발사). 달 탐사 경쟁이 치열하던 시절이라
별
관심을 끌지는 못했지만 마리너4호는 2백28일 동안의 긴 여행끝에 화성으로부터 약 1만㎞ 거리를 두고 지나가면서 22장의 사진을 지구로 전송해왔다. 이 사진 결과 화성 표면도 달과 같이 분화구로 뒤덮여 있다는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물론 생생한 컬러화면을 보면서 상품을 주문하기 때문에 직접 현장에서 보고 사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또한 PC통신을 통한 바둑통신 대국도 가능하다. 지난 3월초에는 서울에 있는 유창혁 5단과 전주 중앙동에 있는 이창호 5단이 한국PC 통신의 온라인망을 이용해 프로기전을 통신대국으로 치러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이리라! 아주 많고 많은 중성미자들이 우리 우주 모든 은하 계속의 엄청난 수에 달하는
별
들에서 쏟아져나오기 때문이다.한편 그러한 중성미자들이 완벽하게 무질량이라면 우린 우주에 관한 매우 원론적인 질문에 대해 답을 찾아야만 한다. "우주는 언제 끝날까?"가 바로 그것이다. 아주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규모 쯤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 앞으로 1만2천년 후까지 영어가 통용된다면
별
문제가 없으나 도중에 사어(死語)가 돼 버린다면 미래인들은 이 20세기의 스톤헨지에 적힌 경고문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전문가팀은 이런 세세한 문제까지 고심을 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과잉' ... ...
별
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한다. 동반성의 질량은 최소한 6M⊙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백색왜성이나 중성자
별
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백조자리 X-1을 검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쌍성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X선원 중에는 동반성의 질량이 9M⊙인 것도 관측되어 검은 구멍의 존재는 의심의 여지가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
별
이 움직이는 것을 보면 우리가 사는 세계가 살아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별
자리를 익혀 놓으면 아는 것이 많아져 자꾸만 자꾸만 하늘을 쳐다보게 돼요. 매번 정직하게 그 모습 그대로 자신을 보여주는 성운 성단에게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기도 하지요." 졸업해도 기회가 닿는대로 ... ...
감전 사고의 주 원인은 전압아닌 전류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별
로 없다. 실제로 우리 몸이 얼마나 손상을 받느냐는 전압이 '2백20V냐 1백10V냐'와는
별
상관이 없다.전자가 흐를 때 반드시 나타나는 '방해꾼'이 있다. 전기저항이다. 전자들은 어떤 곳을 흐르건 간에(금속이든 인간의 몸이든) 전기저항이 최소인 경로를 택한다. 또 자신의 움직임에 방해를 받게되면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않는 은하도 있다는 사실도 의문의 하나이다. 많은 이론가들은 은하핵의 에너지원인
별
들이 주변에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가 그 사실을 해명해 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또 다른 의문은 물질들이 빨려 들어간 다음에 왜 제트로 분출되는가 하는 것이다. 아무도 이 문제를 명확히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
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달의 행성금성아침에 보이며 밝기는 -3.4등급이다. 천칭자리에서 전갈자리를 거쳐 하순에는 땅군자리에 있게 된다.화성쌍둥이자리에 위치하며 밝기는 0 ... 예정이다. 앞으로 10년 계획을 세워 지적생명체가 있을만한
별
1백개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이
별
에서 오는 전파를 분석할 계획이다 ... ...
우리은하는 얼음덩어리에서 출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하는 의문은 아직 남아있다. 우주 초기에는 수소가 대부분이었고, 관측된 가스와
별
들 역시 수소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과정은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다. 문제는 단단한 수소 덩어리가 우주 공간의 온도 -2백70℃에서도 증발해 버릴것이라는 데 있다. 이에 대해 올만은 "수소 얼음의 바깥쪽에 무거운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