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 후 한번 누르기(클릭)를 하면 된다. 그러면 메뉴
별
기능과 사용법을 알아보자. ■ 파일메뉴복사(copy)-파일을 원하는 드라이브의 디렉토리로 복사해준다. 도스와는 달리 원하는 파일을 일괄 선택한 후 파일메뉴의 복사를 선택하면 복사 대상을 묻는 문답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삼림과 농촌지역에서 그것을 상쇄하는 양의 산소생산이 뒤를 받쳐주고 있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다.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전체 규모에서 도시는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고 삼림 습지 바다 농경지는 그 이산화탄소를 자원 삼아 광합성을 함으로써 도시로 식량을 공급하는 순환과정을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는 세개의 밝은 은하들중 가장 두드러진 것이다. 사자 자리 세타(θ)
별
과 아이오타(ι)
별
의 중앙 즉 세타의 남남동쪽 약 2.5도 되는 곳에 M66 M65(NGC3623) NGC3628이 놓여 있다. M66은 8분×2.5분의 크기를 갖고 있다. 투명도가 좋은 어두운 밤하늘에서 파인더 망원경으로 볼 수 있어서, 작은 솜털 조각과 같은 ...
아마추어 과학모임 총정보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광학기기, 무선통신을 위한 햄기기 등은 돈이 있어야 가능했다. 그러나 이제는 웬만하면
별
부담 없이 그러한 기재들을 살 수 있을 만큼 소득수준이 높아진 데다 외제밖에 없던 것이 이제는 성능이 우수하면서 값도 비싸지 않은 국산품들이 많이 나와 있는 상태다.또 생태계 등에 관한 과학활동은 ... ...
우주탐색 전선24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고개를 들면 밤하늘에는
별
들이 반짝인다.● 일반인들이
별
을 바라보기란 이렇게 쉬운 일이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먼저 '어떤 종류의 빛'으로 관측할 것인지부터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현황을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COBE(Cosmic Background Explorer)를 들 수 있겠다. 우주 천문학은 이제 막 과학실험 위성 '우리
별
1호'를 올린 우리실정에 비추어 보았을 때 아직은 요원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범국민적인 지원과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 우주 천문학이다.최근 선진국에서는 빛 뿐 아니라 중력파(gravitational wave)나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1/18000° 이상 멀어지지 않는 완전 자동추적장치가 부착돼 있다.이 망원경은 각 부분
별
로 프랑스의 여러 유수한 회사에 의해 현재 제작이 진행되고 있으며, 금년 9월 우리나라에 들여와 10월에 보현산 정상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 망원경의 주요 관측장비로는 중분산분광기 천체사진기 CCD카메라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별
생성 과정, 우주 물질의 분자 구성비, 초신성 잔해와 충돌하는 성운의 물리적 성질,
별
진화의 최후 단계에 대한 연구 등에 이용되고 있다. 망원경의 주 이용자로는 천문대의 연구원과 전국 대학의 교수 및 대학원생 등이 있으며, 일본 미국의 연구진과의 국제 공동 연구도 수행 중에 있다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밝힘으로써 가능하다고 봤다.이러한 단순한 생각에서 출발했던 기계번역 연구는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었다. 언어체계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단어가 아니라 통사(또는 문법) 구조이기 때문에 통사 구조를 소홀히 하는 기계번역 연구가 큰 실효를 보지 못했던 것이다. 약 10년 간의 공백기 후에, 197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algebraic structure) 순서구조(order structure) 및 위상구조(topological structure)의 3가지로 대
별
하고 이 세구조를 바탕으로 현대수학의 모든 분야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주로 했다.수학을 양(quanity)에 대한 학문이 아니고 구조에 대한 학문으로 파악하려는 의식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그러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