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핵인"(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2015.12.22
- 경비가 삼엄한 적 군사기지. 군사 차량의 바닥에 매달려 출입문을 무사히 통과했다. 높은 철망은 경비가 허술한 틈을 타서 절단기로 끊고 안으로 살금살금 기어들어 간다. CCTV가 있지만, 전원만 차단하면 무용지물이다. 아무리 견고한 보안 장비라고 해도 반드시 뚫고 지나간다. 매년 한두 편 이상 ... ...
- 해양의 미래를 밝힐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전면금지' 시행, 눈 앞에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사진1. 환경·복원연구본부 정창수 본부장. 1993년 10월 17일 블라디보스토크 남동쪽 약 1백90㎞ 해상에서 러시아함정이 10시간에 걸쳐 방사성 액체 핵폐기물을 흘려보내는 것을 그린피스가 적발해냈다. 알고 봤더니 당시 처음이 아니라 구소련 시절 30년 동안 북한과 인접한 동해의 6곳을 포함, 오호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7은 행운의 숫자다. 7이 ‘럭키 세븐(Lucky 7)’이 된 데는 야구의 공이 컸다. 미국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있었던 일이다. 7회 공격 때 타자가 친 공이 외야 플라이로 날아가다가 마침 강풍이 불면서 파울볼이 홈런이 됐다. 다른 경기에서도 7회만 되면 유독 득점이 많이 나왔던 메이저리그에서 이렇게 ‘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9]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0”2015.12.02
- ‘여긴 어딜까?’ ‘나는 누구지?’ 알 수 없는 세상에 내던져진 그들은 외롭고 또 두려웠다. 밝고 뜨겁지만 이상하리만치 적막한 세상. 137억 년 전 우주는 그들 소립자들만의 세상이었다. 더 이상 쪼갤 수도 나눌 수도 없을 만큼 미소한 이들은 빅뱅과 함께 137억 년 전 존재하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1911년 11월 18일 영국의 스코트가 드디어 남극점에 도착했다. 하지만 그곳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꽂혀 있었다. 나흘 전인 14일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이 이미 남극점에 도착한 것이다. 비록 ‘최초’라는 타이틀은 놓쳤지만 살을 에는 추위와 눈보라를 뚫고 남극점에 도착한 스코트 역시 위대한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2011년 개봉한 영화 '생존게임 247℉'는 사우나에 갇힌 사람들의 필사적 탈출기를 그린 영화다. 영화에서 정상체온 36.9도의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온도를 120도로 상상한다. 물이 끓기 시작하는 100도, 영하 10도 까지 떨어지는 겨울철 기온, 40도 안팎의 뜨끈한 목욕물 등이 우리가 익숙하게 접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2015.11.24
- 300초. 5분이라는 시간은 대부분 우리 일상에서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업무 중간에 잠깐 화장실에 다녀오거나, 커피 한 잔을 타 마실 수 있는 정도의 시간. 또는 끓는 물에 라면을 넣고 면이 익길 기다리는 시간 정도이다. 하지만 5분이라는 시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순간도 있다. ... ...
- 신규원전이 중심이 된 원전산업 클러스터, 해외에서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미국의 실리콘 밸리는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혁신의 요체로 평가받고 있다. 실리콘 밸리와 같은 테크놀로지 클러스터(Technology Cluster)는 특정 기술과 연관된 기업들과 소비자들이 정부기관과 과학연구기관이나 대학을 중심으로 집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선진국들이 클러스터 전략을 사용하 ... ...
- 세계는 지금 신규원전 건설 붐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신규 원전 건설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이산화탄소 배출과 관련한 원전의 장점과 국가별 특성에 따른 요구, 그리고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각국의 노력 등이 더해져 2030년까지 신규원전 건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2015.11.18
-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는 약 두 달에 걸쳐 장치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배기 과정, 초전도성을 띄게 만들기 위한 극저온냉각 과정, 마지막으로 초전도자석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을 하는 단계인 초전도 자석 전원 운전 시험을 거치며 플라즈마 실험을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