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스페셜
"
조상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포트투갈과 시베리아 사이, 노르웨이와 이란 사이에 거주했던
조상
들의 유전자 분석도 진행 중이다. 다발성 경화증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나 조현병 등 현대인이 앓고 있는 질환의 유전적 뿌리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게놈이 온전해도 결코 원상복구가 될 수 없다. 나를 포함해 지금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는
조상
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십억 년 세월 동안 세포에 담긴 정보가 한순간도 소실되지 않은 채 진화해온 셈이다. 저자는 “아미노산 같은 단순한 밑감과 물질대사와 복제를 하는 세포 사이에는 아득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미나리목(目)에 속하는 친척 관계이기 때문이다. 게놈 분석 결과 인삼의
조상
과 당근의
조상
은 약 5100만 년 전 갈라진 것으로 나온다. 당근이 작물화돼 식탁에 오른 역사는 이보다 훨씬 짧아 10세기 이란고원(현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뿌리채소로 먹었다는 최초의 기록이 있다. 당시 당근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환경과 현대 인류를 잇는 열쇠 '고대 DNA'
동아사이언스
l
2023.10.08
진화했는지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다양한 대륙에 흩어져 살던
조상
들의 생활상도 추적할 수 있게 됐다. 사이언스는 "고대 DNA는 역사에서 사라진 이야기를 발견해 현대인과 고대 원류의 연결고리를 찾는 단서가 됐다"고 말했다. 사이언스는 고대 DNA 연구가 발전하기 위한 과제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익룡
조상
'고대 파충류', 부리·발톱으로 사냥
동아사이언스
l
2023.08.19
내놓은 바 있다. 단 라게르페티드는 익룡처럼 하늘을 날진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익룡의
조상
이지만 비행은 하지 않았던 라게르페티드의 자세한 생활상은 상당 부분 베일에 싸여 있다. 연구팀은 라게르페티드가 살아가던 방식을 추측하기 위해 당시 모습을 복원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부위별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로 찾은 300년전 아프리카계 미국인 후손
동아사이언스
l
2023.08.06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잃어버린
조상
들'이 땅속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모습을 실었다. 약 300년 전 미 ... 그들이 같은 직계
조상
을 두고 있는 것이거나 당시 용광로 노동자들의 친척이 그들의
조상
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매머드, 현대 코끼리처럼 '광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0
통해 간접적으로 머스트 상태를 추측할 수밖에 없었다. 먼 옛날 멸종한 코끼리의
조상
인 매머드가 머스트 상태에 도달했다는 과학적 증거가 새롭게 제시됐다. 마이클 체르니 미국 미시간대 앤아버캠퍼스 연구원 연구팀은 최소 3만3000년 전 활동했던 매머드 엄니에서 테스토스테론이 주기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연구 제공 두 번째 시나리오는 독일 중부 도시 아인베크의 에일맥주에 쓰인 빵효모가
조상
이다. 막시밀리안 1세는 평소 높이 평가한 아인베크의 에일맥주를 뮌헨 호프브로이하우스에서 직접 만들 욕심으로 1612년 아인베크의 양조기술자 엘리아스 피흘러를 스카웃했다. 이때 아인베크의 빵효모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5.13
그 역할을 해왔다. NHGRI는 이번에 완성된 범유전체 참조 지도 초안에 대해 “다양한
조상
배경을 가진 47명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들어 있다”며 “한 사람은 한 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초안에는 염색체 94개에 들어 있는 DNA 염기서열 정보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NHGRI는 202 ... ...
[오늘과학] 바다에 사는 곤충이 드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서식하는 종은 바다소금쟁이를 비롯해 몇몇 정도로 극히 드물다. 곤충의
조상
중에서도 바다를 근거지로 두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곤충이 해양환경에서 적응하기 어려운 진화적 특성을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아사노 쓰나키 도쿄도립대 교수 연구팀은 곤충의 외부를 덮고 있는 단단한 껍질이 해양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