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침체
신원
동일
스페셜
"
정체
"(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
2024.12.21
기성 세대가 올바른 남성성에 대한 표본을 보이는 데 실패한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정체
성에 위협을 자주 받거나 자신이 지키고 싶은 자아상이 무너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지나치게 클 경우 가장 좋은 방법은 과연 그것이 지속 가능하고 나와 주변인들이 행복하게 사는 데 도움이 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차치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보유한 선진국은 인구가
정체
되거나 줄고 있어 이미 꺾인 배출량이 앞으로도 꾸준히 줄어들 것이다. 물론 여전히 전체 배출량의 13%로 비중이 큰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재집권하며 변수가 생겼지만 그래야 4년이므로 흐름을 바꾸지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의 행복'에 주변 사람들 안위도 포함된다
2024.11.02
모습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같은 운명'을 지녔다는 깨달음에서 '우리'라는 새로운
정체
성이 형성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이 과정을 잘 겪어갈수록 회복력이 강한 사회가 된다. 자신이 겪은 일이 아니더라도 타인의 아픔에 함께 슬퍼하고 함께 연약함과 무력함을 느끼고 꽃 한 송이를 바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절반 이상으로 늘어난 것이 사실이다. 스웨덴 한림원의 정치공학적 현실이 화학상의
정체
성을 뒤흔드는 일은 쉽게 용납하기 어려운 것이다. ● 노벨상에 대한 냉정한 관심 올해 노벨상은 우리에게 특별히 유별나다.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 수상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김대중 대통령의 2000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사건들에 의해 괴로움을 경험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고통은 사회적 역할, 집단
정체
성, 자기 자신과의 관계, 신체적 측면, 가족과의 관계, 또는 초월적인 존재와의 관계와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Cassell, 1982)." 1982년 에릭 카셀이라는 의사는 고통에 대해 위와 같은 정의를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가을학기 정규 과학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Chemie)의 친구 캐릭터를 선정한다. 참가자들은 케미와 조화를 이루면서 화학과 연구원의
정체
성을 담은 캐릭터로 제작해 제출하면 된다. 총 12편의 수상작을 선정하며 총 690만 원의 상금을 시상한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공모 요강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0일 오후 3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깨비 장마 시달리는 기상청, '맹목적 비난' 멈춰야
2024.07.31
국지적 폭우가 빈번하게 쏟아지는 일이 계속되고 있다. 올해도 길고 가늘게 형성된
정체
전선이 남북으로 오르내리는 '도깨비 장마'가 찾아왔고 장마가 끝난 후에도 국지성 폭우가 쏟아지는 일이 계속되고 있다. 해가 진 후에도 기온이 섭씨 30도를 웃도는 초(超)열대야도 등장하고 있다. 이제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성질을 가진 빛을 발견했다는 사실이 기뻤지만 무슨 빛인지는 정확히 알지 못했으므로 ‘
정체
불명’을 의미하는 X선(X-ray)이라 이름붙였다. 뢴트겐은 자신의 발견이 얼마나 효용가능성이 높은지를 알지 못했지만 이는 현대물리학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자 과학역사에서 위대한 발견의 하나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완벽하고 세심하게 길러주고 챙겨준다는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의
정체
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공식적으로는 시제품조차 공개된 적이 없다. 그런데도 2028년에는 국어·사회·과학·기술가정 등의 교과로 확대 적용한다는 것이 교육부의 확고부동한 정책이다. 교사자격증도 받은 적이 없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못하고 있다. 이공계 대학의 핵심인 물리학과와 화학과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고
정체
를 알 수 없는 '융합학과'와 '계약학과'가 이공계 대학의 교육을 초토화하고 있다. 수도권 정원 규제로 꽁꽁 묶여있던 서울대에 '첨단융합학부'를 급조(急造)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학생들이 낯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