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열전"(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2020.04.21
- 생산하는 기능이 있는 소재다. 김 교수는 나노그레인으로 코팅하는 방법을 고안해 열전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김 교수는 나노과학 분야 개척자로 320여편의 SCI급 국제학술 논문과 13편의 특허 등 우수한 연구업적으로 기초과학 분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과학기술포장을 받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2020.03.24
- 열광발전 시스템이 기존 반도체 소재와 기술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기와 결합한 시스템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미국의 과학자들은 250~400℃ 폐열에서 나오는 적외선으로 전기를 만드는 새로운 열광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 美, 우주개발 패러다임 바꾸는 차세대 원자력 추진기술 개발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9.14
- 최근 연구 결과를 의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핵 열추진 기술은 ‘방사성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 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 기술과는 다르다. RTG 기술은 플루토늄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생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우주선 장비나 기타 관측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NASA는 수십년 ... ...
- 과학지식 없는 AI, 과학 논문 읽어 새로운 소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4
- 수도 있다 생각해 솔직히 알고리즘이 미래를 예측해 낼 줄 몰랐다”며 “예측뿐 아니라 열전소재 분야에서 최근 유행하는 결정 구조인 ‘반 호이슬러 구조’ 물질을 다수 찾아내는 등 예측의 질도 놀라웠다”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2019.04.02
- 떨어지는 금속이 주변의 열을 흡수하므로). n형과 p형 반도체를 써서 장치를 만들면 열전효과가 더 커진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용화의 길이 열렸고 오늘날 몇몇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냉매 시스템에 비해 비싸고 효율이 낮아 널리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고체 냉각 ...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2016.08.08
- 世家)’에서 주요 제후(왕)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가장 널리 읽히는 ‘사기 열전(列傳)’ 칠십 편에서 제왕과 제후들을 도왔던 인물들이 나온다. 이밖에 ‘표’ 열 편, ‘서(書)’ 여덟 편을 더해 총 130편이다. 본격적인 중국 제국의 문을 연 하나라의 시조 우임금의 초상. 송나라 화가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가 이끄는 에너지 그룹은 나노입자를 연료전지, 촉매, 배터리 등에 응용하는 하는 한편, 열전소자, 태양전지도 연구하고 있다. 또 김대형 연구위원(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최승홍 연구위원(서울대 의대 영상의학과 교수)이 참여하는 그룹에서는 유연 전자소자를 제작해 의료 분야에 응용하고 ...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고 경제적으로도 큰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열전 소재는 대량생산이 가능해서 조만간 산업현장에서 제 몫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성과는 '플렉서블 배터리 개발'이다. 웨어러블 기기는 입고신고 차고 쓰는 컴퓨터라 불리며 매년 수많은 ... ...
-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하베스팅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07
- 회수로 충분한 양의 보조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일부 대기업에서 열전소자를 응용해 상용화하려고 박차를 가하고 있다. 누르면 에너지가 생긴다, 압전 하베스팅솔솔 부는 바람, 사람의 움직임, 자동차 엔진의 떨림, 빌딩이나 다리의 흔들림….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곳곳에 ...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KISTI l2015.06.09
- 때 이 돌기와 마찰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압전 기술에 비해 조 교수의 열전 소자 기술과 싱가포르국립대 연구진의 마찰전기 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에 더 적합하다. 그러나 조 교수의 기술은 입고만 있어도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빨리 상용화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