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전
격투
몸싸움
싸움
뉴스
스펀지 같은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열전
소재…성능 5.7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온도 유지 장치 등 새로운 응용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기존
열전
발전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연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성과”라고 말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웨어러블 기기,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 ...
과기한림원 첫 여성 총괄부원장에 김성진 이화여대 명예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3.05
국제학술지에 3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친환경 수소차의 수소 미세 누출 감지 센서,
열전
소재 코팅 방법 고안 등 나노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20년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을 받기도 했다. 김 부원장은 "오랜 기간 대학의 연구·교육·행정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림원 회원 등 현장 ... ...
섬유 한 가닥으로 인간 피부 감각 재현…신개념
열전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열전
소자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다. 연구팀은 섬유형
열전
소자를 웨어러블 스마트 장갑에 통합해 다양한 자극을 감지하는 인간의 피부 감각을 모사한 센서 시스템을 구현했다. 스마트 장갑은 출력 전압, 전기 저항, 정전 용량과 같은 서로 다른 변수들의 변화를 ... ...
친환경
열전
소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환경
열전
박막 소재가 폐열 회수 시장 개척 및 웨어러블 기기 제품 혁신으로 이어져 미래 에너지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doi.org/10.1002/inf2.1262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적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열전
반도체 대량생산과 상용화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 ...
두 물질 접촉면의 온도차 전기를 만들다…한국 과학자들 마찰전기 발생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마찰전기 팩터는 온도차로 유도되는 전압을 의미하는 ‘제벡 계수’와 미도, 비열,
열전
도도 등 물질 특성으로 구성된다. 또 마찰전기로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차이의 크기를 예측하는 ‘마찰전기 파워’라는 물리량도 처음으로 제안했다.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해 부정확하다는 ... ...
삼성, 노화 규명·차세대 소자·RNA백신 등 27개 연구에 486억5000만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열 등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원자 배열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반도체,
열전
소자 등 각종 응용 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재 분야에서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 유전자 치료제 관련 기반 기술 및 정제 기술, 저온에서 구동하는 배터리 등 ... ...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초에는 에너지 연구 분야 최상위 저널 ‘에너지&환경과학’에 자성물질을 활용한 고성능
열전
소자 제작을 위한 공정법을 최초로 제시해 주목받았다. 진현규 교수는 “환경 및 에너지 위기를 줄이겠다는 명확한 목표의식을 바탕으로 탁월한 학술적 성과를 도출하고 기술 상용화에 이바지할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물리적으로 원자를 가지런히 정렬시키는 ‘열간변형 기술’이다. Kim’s Lab의
열전
연구와 중희토 저감 영구자석 연구는 환경과의 공생을 향한다. 2050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사용 글로벌 캠페인 ‘RE100’ 등 미래를 위한 과학에 Kim’s Lab이 앞장서고 있다 ... ...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있지요. 덕분에 물건을 만지기 전, 후의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어요. 또, 연구팀은 이
열전
소자를 유연한 구조로 만들어 늘어나도 끊어지지 않고 피부에 잘 붙도록 했답니다. 연구를 이끈 고승환 교수는 “현재 VR기기는 주로 시각장치가 발달했고, 다른 감각을 느끼게 하는 장치는 부족s하다”며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제목은 ‘캔버스(CANVAS)’.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차세대
열전
2020!’ 발표작이다.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는 문화예술 전문인력 교육기관으로 다양한 사업을 통해 예술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전시를 이끈 강신욱 연출가는 “마치 그림을 그리듯 소리를 그려내고 싶다는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천 년 전부터 연구를 이어왔어요. 파이데이를 맞아 준비한 수학자들의 π 구하기
열전
,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Part1.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Part2.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Part3. [기획] 소수점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기사
l
20240927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이저 1호와 2호는 태양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는 먼 우주를 탐사하기 위해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를 사용해 전력을 생산합니다. RTG는 방사성 물질이 자연적으로 붕괴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 이 덕분에 보이저는 태양계 외곽에서도 오랫동안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
우주복 신소재,복합제의 코오롱 one&onlyTower의( 우주로의여행)
기사
l
20240803
왼쪽에있는 기자가 이겼습니다 두 번째 체험으로, 창가에 태양열이 붙여져있습니다 . 태양열은 태양에서의 열로 터빈 또는
열전
반응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방식으로, 태양에서의 빛으로 전기 또는 화학 작용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는원리입니다. 평균은 100v의 전기가 들어오는데 오늘은 31v의 전기 밖에 들어오지못하였습니다 ...
슈가 글라이더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00904
겨울이 되었을 때 잘못하면 무지개 다리를 건널수도 있다고 해요. 전기방석을 구비했을 경우, 케이지 밑에 깔아두면 되고요. 세라믹
열전
구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지에 달아놓으시면 된다고 합니다. ( 사진 출처 : 펫엔글라이더 홈페이지 ) 이동장 ; 슈가글라이더가 아파서 병원에 갈 일이 생겼을 때나 다른 곳으로 외출을 해야할 때 이 가방에 ...
새들의 별난 이름
열전
!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12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