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스페셜
"
애벌레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말이다. 봄의 온도 상승 폭이 알을 낳는 시기인 4월 15일 이후에 더 크다는 것도 이유다.
애벌레
의 생물량이 가장 많을 때인 5월에 평균기온이 더 많이 올랐다. 다만 박새도 손(날개) 놓고 있는 건 아니어서 23년 사이 첫 알을 낳은 날과 알이 부화한 날의 차이가 이틀 줄었다. 박새는 첫 알을 낳은 뒤 ... ...
우리 앞바다 ‘미세플라스틱 역습’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에서 비닐과 플라스틱의 주 재료 중 하나인 폴리에틸렌(PE) 분해 효소를 발견하고 6일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류 센터장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효율적으로 플라스틱을 분해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
가 있다고?
2017.08.15
논문을 읽어본 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지만 이번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논문은 잘 모르겠다. 부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실험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분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오고 효소 시스템도 밝혀져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을 막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의 경우 산불이 심하게 난 곳에서 잘 산다. 불탄 나무 기둥을 선호하는 딱정벌레가 낳은
애벌레
를 즐겨 먹기 때문이다. 산불다양성의 생태적 효과는 불이 난 이듬해보다는 10년이 지났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로 대형 산불이 잦고 생태계도 취약해지면서 산불 정책도 억제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
KISTI
l
2014.09.30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한 것이다. 원래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들은 나무속에 숨어 있는
애벌레
를 꺼내 먹기 위해 막대기를 사용한다. 까마귀는 문제없이 시험관에 갈고리를 넣어 양동이를 꺼낸 뒤 먹이를 먹었다. 놀라운 일은 다음에 벌어졌다. 똑같은 상황에서 펴진 철사를 주고 까마귀의 반응을 본 ... ...
따루와 박석재의 별밤 오디세이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그리고 블랙홀이다! 1905년, 혁명적인 논문으로 ‘기적의 해’를 만들기 전,
애벌레
와 같았던 그의 흑역사 시절을 들여다보고 블랙홀처럼 빠져드는 그의 인간적 매력만큼 여자 관계도 아주 복잡했다고 하는데... 막장드라마 빰 치는 그의 사생활의 단면도 살펴본다. 그리고 이 모든 이야기를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유발하지도 않았다. 다음으로 박테리아 병원성을 확인하는 모델 동물인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에 박테리아 용병을 대량 투입했는데 역시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았다. 결국 용병들은 진핵생물은 공격하지 않는다고 6월호 논문에서 결론을 내렸다. 아직 사람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임상을 시작하지는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런 행동을 보이지 않았던 것. 이 돌연변이체에 쥐의 멜라놉신 유전자를 넣어주자
애벌레
는 다시 최적 온도를 찾아가는 행동을 보였다. 옵신이 주변 온도를 감지한다는 강력한 증거다. 결국 옵신은 시각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빛수용체로 특화된 단백질이 아니라 다양한 양식의 외부 감각 정보를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