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스페셜
"
애벌레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주로 발견된 점과 후면 아래 쪽에 튼튼한 가시가 여러 개 돋아 있는 점을 고려해 이모가
애벌레
처럼 조금씩 움직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아래 부분에 달려 있는 튼튼한 가시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했다. 생물이 퇴적물 속에서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가시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17년만에 쏟아져나온 매미 떼, 먹이사슬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이전에 비해 75% 감소됐다. 브루드 텐 출현 이전보다 개체수가 2배 이상 늘어난
애벌레
들은 숙주인 참나무를 갉아먹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참나무 잎의 손상도도 2배로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연구팀은 주기 매미의 대량 출현으로 인해 "계단식으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이 깨졌다"고 설명했다. ... ...
[오늘과학] '꿈틀꿈틀' 수mm 공간 기어가는
애벌레
모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길쭉한 종이와 같다. 아주 얇은 두께에 가로 70mm, 세로 15mm 형태를 갖고 있다. 이 로봇은
애벌레
처럼 몸을 구부러트려 앞으로 전진하거나 뒤로 움직인다. 속도는 초당 0.5~7mm 정도다. 로봇은 열에 노출될 때 다르게 반응하는 폴리머 2개층으로 만들어졌다. 바닥에 맞닿아 있는 층은 열에 노출되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번데기 우유'로 공동육아하는 개미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2.12.17
성장과 체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이 갓 부화한 개미
애벌레
에게 4일간 이 영양물질을 먹지 못하게 하자 성장이 멈추고 상당수는 죽었다. 5종류의 개미에게서 같은 현상이 확인됐다. 이어 개미들이 영양물질을 섭취하지 않은 번데기는 곰팡이에 감염돼 죽는 것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이들을 직접 그림으로 남겼다. 메리안은 단지 생물을 관찰하는 것을 넘어 직접 알과
애벌레
를 기르며 발달 단계를 기록하고 이를 그림으로 남겼다. 심지어 메리안은 1699년 수리남으로 가는 배에 올라탔고, 쿡 선장의 항해보다 69년, 훔볼트보다 100년, 다윈의 비글호 항해보다 312년 전에 오로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처럼 미국 할로윈을 떠올리게 하는 유전자 이름이 많다. 이 돌연변이가 발생중인
애벌레
의 외골격을 이상하게 변형시켜 유령처럼 만들기 때문이다. 《초파리의 기억》은 행동유전학을 창시한 시모어 벤저가 초파리의 행동을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하는 학문을 만들어나간 과정을 그리는 조나단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밖에 나온 매미는 나뭇가지 위에 한 마리당 평균 약 600개의 알을 낳았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
는 바닥으로 내려와 곧 흙 속에 파묻혔다. 이후 땅속에서 살며 나무뿌리에서 나오는 수액을 먹으며 자랐다. 그렇게 17년을 버틴 매미들이 올해 여름 한꺼번에 땅 위로 올라와 모습을 드러냈다. 이 가운데 ... ...
최장기간 장마, 가장 따뜻한 1월…2020년 1년 내내 이상기후 기록 세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해충의 알이 폐사하지 않아 여름철에는 대벌레, 매미나방 피해가 컸다. 매미나방
애벌레
습격으로 전국 산림 6183ha의 면적이 피해를 입었다. 4월은 쌀쌀하고 강풍이 많았다. 4월 22일 새벽에는 서울에 진눈깨비가 내려 1907년 기상관측 이후 4월 하순 가장 늦은 봄눈을 기록했다. 여름은 변동폭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보라색이 막 끝나 사람 눈에는 어두운 지점을 지나 보라색과 좀 더 떨어진 어두운 곳에
애벌레
를 놓았다. 심지어 보라색 바로 옆 어두운 공간과 빨간빛 공간만 있을 경우 빨간빛을 택했다. 러벅은 개미가 사람은 볼 수 없는, 보라색보다 파장이 약간 짧은 빛을 볼 수 있다고 결론 내리고 이 영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꿀벌의 방어를 뚫은 장수말벌은 꿀을 실컷 먹고 꿀벌
애벌레
와 벤데기는 자기
애벌레
의 먹이로 삼는다. 장수말벌은 꿀벌뿐 아니라 다른 말벌의 벌집도 약탈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마귀나 거미 등 여러 절지동물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포식곤충이다. 가끔 새에게 공격을 당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