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스페셜
"
논리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주시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를 소개합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대단히 중요합니다. 앞서 말했지만 필요한 사업은 하는 게 맞지만 타당하고 충분한
논리
가 필요하며, 지역이 이해할 수 있는 소통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입니다. 아토미: 다른 민간환경감시기구, 환경 관련 시민단체와는 어떻게 협업 또는 공동 대처를 하고 계신지, 간략히 설명해주시기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견해를 수용하게 하려면 정서적 거리를 좁히려는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며 이성적이고
논리
적인 설득방법의 한계도 함께 언급했다. 논의 주체의 문제는 결국 행정부와 국회의 역할로 귀결됐다. 정지범 한국행정연구원 안전통합연구부장은 정책을 추진하는 주체라는 입장상 정부 부처가 논의의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일어나야 한다는 식의 단순한 이유가 아니라, 탄탄한 철학적,
논리
적 근거를 바탕으로 텅 빈 공간의 불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물질로 꽉 찬 우주 르네 데카르트는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을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데카르트는 근대 과학의 방법론적 근간인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시작이 ‘태초’라는 점을 생각해보자. 인류가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수식과 형식
논리
를 사용한 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 인류가 출현한 이래 대부분의 시간 동안, 유용한 지식들은 사람에서 사람에게로, 세대에서 세대로 이야기를 통해 전해졌다. 신화에서는 태초의 사건으로부터 세상의 모든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
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인류의 역사에서 기술윤리는 늘 해당 기술보다 훨씬 늦게 발달해 왔다. 기술의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고밀도 하드디스크도 스핀트로닉스가 적용된 제품이다. 스핀트로닉스를 응용한
논리
트랜지스터는 전하를 이용한 방법과 달리 나노 단위의 크기에서도 신뢰성 높은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보다 집적도가 훨씬 높은 회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리콘 집적회로의 역사는 벌써 6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행동이다. 사람은 미리 정해진 동작만 반복하는 존재가 아니며 감정에 따라 반응하다가
논리
적으로 상충되는 행동을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로봇이 "저녁식사로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하고 물었을 때 사람이 "내가 좋아할 만한 게 뭐가 있을까?" 하고 되물어볼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이때 로봇은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펼쳤다. 골상학은 20세기 초까지 맹위를 떨치다 근거도 빈약하고 차별을 정당화하는
논리
로 발전하여 과학계에서 사장된다. 그러나 뇌의 부위별로 역할이 다르다는 이론은 후대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이 피에르 폴 브로카다. 브로카는 운동성 실어증 환자의 ... ...
좁지만 넓은 시냅스틈의 비밀, 신경전달물질
IBS
l
2014.09.03
실제로는 시간을 잘게 쪼개어 여러 작업을 교대로 진행할 뿐이다. 이러한 방식은 엄밀한
논리
체계를 수학적으로 풀어내는 데는 유용하지만 대규모 병렬 연산이 필요한 난수 생성이나 이미지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연산을 담당하는 코어를 여럿 두어 다중 병렬 처리가 가능해졌다고는 하지만 ... ...
[MATH] 천재일우(千載一遇)와 확률
KISTI
l
2014.06.05
수학보다 경험적이었다. 서양의 수학은 이성을 바탕으로 하여 추론과 연역에 의한
논리
전개 위주였다면, 동양은 실생활에서 경험으로 얻어지는 사실을 바탕으로 수학을 일반화하였다. 확률도 예외는 아니어서 서양에서는 확률을 수학적으로 엄밀히 정리하고자 노력하였다. 동양에서는 특별히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