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논리"(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신호로만 작동하는 현재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현재의 컴퓨터는 논리회로의 스위치를 켜거나(1) 끄는(0) 방식으로 1비트를 표시하는 데 반해 양자컴퓨터는 물리학에서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한다. 양자역학 원리 이용, 슈퍼컴퓨터 능력 월등히 앞서 양자역학에선 서로 다른 상태가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다양한 기초과학이 바탕이 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무수한 수학적 논리와 알고리즘, 컴퓨터 구조 연구 등 다양한 기초과학이 바탕이 돼야 한다. 사진은 IBM의 인공지능 컴퓨터 '왓슨'. - 위키미디어 제공 실제로 알파고를 만든 구글 딥마인드 개발자들의 백그라운드를 살펴보면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구리 표면의 일산화탄소(CO) 분자가 삼각형 구조에서 안정되는 원리를 활용해 CO 분자들로 논리회로를 만들고 작동하는 방법을 보여줬다. 또한 철(Fe) 원자가 주변 원자와 반대 스핀을 갖는 반강자성(antiferromagnetism)을 띄는 것을 이용, Fe 원자 12개로 1비트(bit)씩 총 96개 원자로 1바이트(bite)의 초소형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구성하는데, 그것을 들여다보니까 기존의 자연법칙보다 컴퓨터의 연산법칙(논리곱, 논리합 등)으로 해석하면 이 우주를 좀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IBS에서의 연구를 통해 인류 문명 발달에 기여하고 싶다'는 이수종 단장 - IBS 제공 "IBS에서의 연구를 통해 인류 문명 발달에 기여하고파"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멘토편] (주)씨이피 김성두 대표동아사이언스 l2016.09.09
- 제품 설계 등 기술적인 내용을 많이 알려드렸습니다. 이런 사태들은 결국, 공학적 개념과 논리적 개념을 혼동해서 벌어지는 일입니다. 이런 경우 객관적 증명과 제품 가치를 잡아줬을 때 서로 만족했던 것 같습니다. 이론적 배경 없이 경험만으로 아이디어를 내시는 분이 많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 ...
- 화학계의 알파고, 케마티카(Chematica)를 탄생시키다IBS l2016.08.03
- - IBS 제공 그는 지난 3월 금 나노입자를 활용, 실리콘 등 반도체소재 없이도 작동 가능한 논리소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모든 전자기기에는 반도체가 필요하다고 여기는 기존의 생각에 반기를 든 것이다. 그는 금속 입자의 전하를 화학적으로 활성화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자를 설계했다. ... ...
- 물티슈는 ‘물+티슈’가 아니었더라KISTI l2015.11.03
- 0.1% 이하는 화장품 방부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을 들어 이 성분이 안전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지만, 특정 성분을 화장품에서 썼다고 다른 제품에 써도 안전하다고 할 순 없다고 주장했다. 인터넷 상의 육아 커뮤니티와 물티슈 업체 사용자 커뮤니티에서는 이 문제를 놓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 ...
- [만화] 체했을 때 바늘로 손가락 따면 낫는다?!KISTI l2015.09.24
- 검은 피를 내면, 막혔던 기가 뻥 뚫려 멈춰 있던 위가 다시 정상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는 논리지.” “그래도 바늘은 무서운데….” “그래. 현대의학에서는 단지 심리적인 효과일 뿐 실제로 치료가 되는 건 아니라고 말한단다. 오히려 소독이 잘 안 된 바늘로 손가락을 찔렀다가는 각종 ... ...
- 호혜적 동반자 관계를 향한 큰 걸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23
- 고조되기 이전에 농축재처리 기술 및 시설을 이미 확보하였으며, 냉전 시기 진영대결의 논리가 첨예하던 1988년에 미국과 원자력협정을 체결하였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유웅조 입법조사관은 주변국들의 협정 체결 시기와 이번 개정을 비교하며 골드 스탠다드를 유보한 것이 사실상 영국과 같은 ... ...
-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5.15
- 이루어지는가는 상관없이 감축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지역에서 배출을 감축해야 한다는 논리다. 이에 따라 교토의정서에서는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국제배출권거래제(IET), 공동이행(JI), 청정개발체제(CDM) 3가지 메커니즘을 도입했다. 이 중 청정개발체제(Clean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