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뉴스
"
파도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수풀·
파도
풀·워터슬라이드까지…워터파크에 숨은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길이를 파고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 혹은 골과 골 사이의 거리를 파장이라고 합니다.
파도
를 탈 때 마루에서 골로 내려오면 짜릿한 속도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워터슬라이드는 왜 둥근 모양일까 워터슬라이드는 물이 흐르는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놀이 기구입니다. ... ...
바다온도 딱 '1℃' 올라가자 서해는 '야광충' 명소 됐다
과학동아
l
2024.08.03
바다가 더 거칠어졌다는 뜻이다. 유의파고는 매해 일어난
파도
중 높이가 상위 3분의 1인
파도
의 평균 높이로 계산한다. 기상청, 과학동아 제공 국립수산과학원은 5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4년 여름 우리 바다의 수온은 평년 대비 1℃ 내외로 더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생물에게 1℃란 생각보다 ... ...
우주선 충돌로 궤도 바뀐 소행성, '30만 살' 나이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디디모스에서 직접 왔음을 시사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앨리스 루체티
파도
바 천문대 연구원팀은 디모르포스 표면 바위의 균열들이 반복적으로 열에 노출되며 행성에 균열과 변형이 생기는 '열 피로'에 의해 생겼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는 규산염, 니켈, 철이 혼합된 'S형 ... ...
고온 초전도체 비밀에 더 가까이…고체에서 '암흑 전자'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이 일어난다. 반대로
파도
의 모양이 반대로 포개져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이 합쳐지면
파도
의 높이가 줄어들어 사라지기도 하는 '상쇄간섭'이 일어난다. 원자 두 쌍이 만든 전자 파동도 모두 같은 모양으로 포개지면(아래 그림의 광명 상태) '보강간섭'이 일어나 빛으로 관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지질연 제공 ● 첫 임무는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후보지 탐색 탐해 3호는 4m 높이의
파도
에도 안정적으로 탐사가 가능하고 내빙 기능이 있어 한반도 주변뿐 아니라 전 세계 대양, 극지에서도 석유·가스 등 해저 자원 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태평양 공해상에 해저 희토류 자원이 발견돼 2 ... ...
일기예보·AI 토대 '확률론' 대가 탈라그랑,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던지느라 힘이 빠진 나머지 다음 동전을 살짝 던진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파도
처럼 각 행위가 또 다른 행위에 영향을 주고 또 다음 행위에 영향을 주면 확률은 종잡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확률과정의 최댓값을 정확히 구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대신 수학자들은 ... ...
[화보] 한라산 백록담에 겨울왕국이 있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충남 서천군에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적조현상으로 관찰된 야광충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파도
로 인해 푸른 빛을 띠고 있다. 기상청 제공(촬영 김대권) ● 동상 제설작업. 지난해 2월 강원 삼척시에서 눈으로 제설작업 차량 2대가 이른 아침부터 분주하게 제설 중이다. 기상청 제공(나기환 촬영) 침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2050년 홍수 위험에 처하는 미국 도시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바다와 아주 가까운 곳에서 살고 있다. 모래 사장으로 밀려오는
파도
가 곧 집에 닿을 듯한 모습이다. 2050년에는 미국의 해안 도시 32곳이 홍수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레너드 오헨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 연구팀은 가까운 미래 육지의 고도 변화와 ... ...
북극곰 어쩌나…10년 내 '빙하 없는 북극'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훼손할 수 있다. 해안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빙하는 해안가의
파도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얀 교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게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북극 빙하는 회복력이 있기 때문에 배출량이 줄어들면 빠르게 상태를 회복할 수 있을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기계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시했다. 이를 활용하면 잔잔한 수면은 물론 험한
파도
가 몰아치는 해양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수중로봇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물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소금쟁이과와 딱정벌레과 곤충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