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뉴스
"
파도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에도 생체시계 주기 안 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나타내는 파형 그래프가 비대칭 형태로 바뀌는 덕분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파형은
파도
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특정 유전자가 주기적으로 켜졌다, 꺼졌다 반복할 때마다 mRNA 농도가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리듬을 반복하며 생체시계가 작동한다. 하루동안 mRNA 농도는 일정한 파형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슬픔 속에 숨겨진 행복과 감사
2025.07.19
느낄 수 있었던 것에 대한 감사였다. 그러니까 나를 집어삼키는 슬픔만 가득해 보였던
파도
에 사실은 행복과 감사도 가득했다. 상실감은 소중함에 비례하는 것이어서 큰 상실감은 삶에서 그만큼 큰 선물을 받았음을 의미하는 셈이다. 슬픈 만큼 덕분에 너무 행복하고 잘 살아온 삶이었음을 알 수 ... ...
서울 열대야 9일째…펄펄 끓는 한반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이어진 7일 오후 부산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시민들이 시원한
파도
에 발을 담그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서울에서 열대야가 9일째 이어지고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폭염경보가 발효되는 등 한반도가 펄펄 끓고 있다. 태백산맥 서쪽은 앞으로 더위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지역에서 장마가 ... ...
메타버스 세계에서 잔잔한 물결까지 감지하는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연구팀이 개발한 피부에 부착하는 진동 전달 패치 소자는 메타버스 세계에 조성된
파도
, 자갈, 모래 등의 요소들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성균관대 제공. 개발된 소자는 개구리 발바닥에서 착안한 구조가 적용돼 땀과 체열을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 ...
구석기 도구만으로 3만년전 인류 이주 재현한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연구팀이 출항 전 완성한 뗏목. 선두(오른쪽)와 선미(왼쪽)에
파도
를 막는 장치가 설치됐다. 수직으로 세워진 막대는 카메라와 조명 설치를 위해 설치됐다. Yousuke Kaifu 제공 연구팀은 "구석기 시대 인류가 현대 대중에게 일반적으로 문화와 기술 측면에서 '열등한' 존재로 ... ...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겉에서 보기엔 평화롭지만 사실 갯벌은 시시각각 모습을 바꾸는 변화무쌍한 지형이다.
파도
와 강에서 흘러오는 물의 흐름은 갯벌 사이로 난 물길인 갯골의 방향을 바꾼다. 갯골의 방향이 바뀌면 쌓이는 입자의 종류와 양도 달라진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있었던 갯벌이 사라지고 없던 갯벌이 새로 ... ...
거북선, 400년 만에 특허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7
평평한 평저선의 특징을 갖고 있어요. 뱃머리와 배 뒷부분은 부드럽게 휘어 올라와
파도
의 저항을 줄였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배엔 평저선이 많고 서양과 일본 배는 바닥이 좁고 뾰족한 첨저선이 대부분입니다. 평저선은 첨저선보다 배가 물에 잠기는 깊이가 더 얕기 때문에 더 빨리 제자리에서 ... ...
'홍합으로 탈모인을 구하라'…뷰티숍으로 향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5.05.17
노스웨스턴대에서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박사과정 중 홍합 접착 단백질을 연구했다.
파도
치는 절벽에도 강하게 달라붙어 있는 홍합의 접착 메커니즘을 밝힌 논문을 2007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이 논문은 지금까지 1만 회 넘게 인용되며 생체 소재 분야의 대표 연구로 꼽힌다. (doi: 1 ... ...
파도
헤치며 고래 추적…네이처 '2025년 일하는 과학자' 사진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심사위원단이 선정한다. 200여 출품작 중 총 6개가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Emma Vogel ●
파도
헤치고 고래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번 공모전 우승작에는 2020년 에마 볼겔 노르웨이 트롬소대 연구원이 노르웨이 북부 피오르드에서 촬영한 오둔 리카르센 교수의 모습이 포착됐다. 피오르드는 빙하의 ... ...
5개월 째 바다에 잠겨 있는 페리지 '해상 발사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5.07
없어 페리지는 해상발사를 택했다. 지난해 10월 페리지는 당시 강한 바람, 높은
파도
로 제주 기상상황이 나쁘고 발사 보완 사항이 발견되며 발사를 시도하지 못하다가 결국 발사일을 올해 1분기로 연기했다. 27일 오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해안에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의 우주발사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