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고해상도 분광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따라 고유한 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카메라로 촬영해 파장 정보를 다시 복원하는 방식의
초소형
분광기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상용 이미지 센서에 직접 통합된 방식으로 구현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형태로 빛의 파장을 손쉽게 취득,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장 교수는 "음식 성분 분석, ... ...
나라스페이스, 경기도 기후 감시 위성 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K-RadCube)’의 임무와 체계 종합 지원을 담당하며 국제적 기술 역량을 확보했다.
초소형
위성을 활용한 환경 감시 분야에서의 나라스페이스 기술력과 실적이 이번 경기도 파트너 선정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는 “경기샛 사업 선정은 나라스페이스가 환경 모니터링 ... ...
日 우주기업 아이스페이스, 두 번째 달 착륙 도전도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5.06.08
탐사차와 실험 장치 등이 실렸다. 레질리언스는 달 토양을 채취하기 위해 높이 26cm의
초소형
달 탐사차 ‘티네이셔스’ 등 6개의 탑재물을 싣고 있다. 아이스페이스는 달 착륙에 성공할 경우 달에서 채취한 모래를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판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레질리언스는 4일 오전 3시 이후 ... ...
직각 소용돌이? '피카소 달팽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7
동남아시아 지역에 살아요. 크기는 종에 따라 3~5mm 정도로 달팽이 중에서도 무척 작은
초소형
달팽이입니다. A. 피카소의 가장 큰 특징은 등껍질 모양입니다. 보통 달팽이는 부드러운 곡선의 소용돌이 모양 등껍질 을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A. 피카소의 등껍질은 소용돌이의 바깥 부분이 직각에 ... ...
두 번째 달 착륙 도전 日 아이스페이스…하강 중 교신 끊겨
동아사이언스
l
2025.06.06
탐사차와 실험 장치 등이 실렸다. 레질리언스는 달 토양을 채취하기 위해 높이 26cm의
초소형
달 탐사차 ‘티네이셔스’ 등 6개의 탑재물을 싣고 있다. 레질리언스는 4일 오전 3시 이후 서서히 고도를 낮춰 오전 4시 17분경 달 북반구 '얼음의 바다'에 착륙할 예정이었다. 예정된 착륙 시간 직전에 ... ...
이노스페이스, 독일 기업 '엑소런치'와 발사체 활용 전략적 파트너십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적용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엑소런치는 530기 이상의 위성 발사를 통해 검증된 소형·
초소형
위성 전용 분리 시스템을 한빛 발사체에 적용해 고객에게 보다 안정적인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노스페이스는 한빛 발사체에 탑재체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임무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 ...
[ISS2025] 로켓랩 "새로운 발사체 '뉴트론'으로 스페이스X 팰컨9 독점 끝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6.03
60여 개 발사해 200개 이상의 위성을 궤도에 올렸다. 2024년 KAIST가 개발한 지구 관측용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NeonSat)-1'이 국내 위성 중 처음으로 로켓랩의 발사체를 이용해 궤도로 올라갔다. 로켓랩은 우주산업의 핵심적인 경제적 가치가 발사체보다 응용에 있다고 분석하며 발사체 외의 사업을 ... ...
금성 대기 비밀 밝힌다…IBS, 장기 관측 첫 위성체 제작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줄 것으로 보인다. 이연주 IBS 행성대기그룹 책임연구자(CI)는 “나노애비오닉스의
초소형
위성 플랫폼을 통해 첫 위성인 CLOVESat-1을 운용하면 앞으로 더 발전적인 후속 위성들을 기획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텔레픽스, 블루카본 관측 위성 '블루본' 첫 고해상도 사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독자 개발한 분광카메라는 별도의 장치 없이 초점 조절이 가능해 내부 공간이 제한된
초소형
큐브위성에서 해상도 4.8m 수준의 고품질 위성 영상을 얻을 수 있다. 6U급 위성에 탑재되는 상용 전자광학탑재체 중 최고 수준이다. 블루본에는 우주용 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TetraPLEX)도 탑재돼 있다. ... ...
박건식 서울대 교수팀, 美와 7억원 규모 드론 무력화 기술 연구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5.27
함께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산하에 국방융합기술연구회를 결성했으며 현재 국내
초소형
드론 무력화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다. 연구팀은 인도 국방연구개발기구(DRDO) 산하 마이크로파 진공관 연구개발센터(MTRDC)와도 협력 중이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