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락부자
표고버섯
검버섯
진균류
균
곰팡이
뉴스
"
버섯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벌레에서 자라는
버섯
동충하초,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아시아 지역에서 한약재나 건강식품 등에 활용된다. 선명한 주황색을 띠는 이
버섯
은 코디세핀이라는 물질을 생산한다. 코디세핀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아직 작용 메커니즘이 분명하게 확인되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고처리량 ... ...
도박중독 벗어날 방법 찾았다…뇌 조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돌연변이 유전자를 과발현시켰다. 그 결과 위험회피군의 측좌핵 내 가지돌기 가시 중
버섯
모양의 가시 상당수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세포 흥분성도 감소했다. 이러한 가지돌기 가시의 변화는 위험추구군에서 보이는 상태와 비슷했다. 라딕신을 주입한 위험회피군 쥐는 실질적으로 위험추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
2024.10.27
잘 하도록 소화제를 복용하는 것처럼 질병치료와 큰 차이가 없다. 피부에 점이나 검
버섯
이 생기는 것도 질병으로 여기는 세상이 되었다. 곰곰 생각해 보면 누구나 질병이 아닌가 의심해 볼 수 있는 이상을 서너 가지쯤은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모두를 질병이라 하기는 어렵고 아니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법
버섯
' 물질, 정신질환 치료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3
환각 증상을 일으켜 '마술
버섯
(magic mushroom)'이라고도 불리는 환각
버섯
속(학명 Psilocybe)
버섯
의 환각 물질인 '실로시빈'이 우울증이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의 정신 질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1일 네이처에 실었다. 실로시빈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면 과학자나 ... ...
'마술
버섯
' 속 환각 물질, 정신질환 개선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실로시빈이 포함된
버섯
을 섭취한 사람은 시공간과 자기 인식에 대한 감각이 왜곡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각제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면 과학자나 의사가 치료에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 ...
[푸드테크 뜬다]⑥ 씹지 않아도 되는 고기에 분말 죽까지…'고령친화식품'의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뉴런'을 내놨다. 풀무원의 R&D 센터인 풀무원기술원은 20년간 연구 끝에 흰목이
버섯
효소분해추출물이 기억력과 실행능력 등 인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었다. 현재 여러 고령친화식품 기업들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을 대상으로 수출 시장을 넓히기 위해 시장 조사를 하고 ... ...
"두꺼비가 내뿜는 독, 우울감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환각성 화합물을 내뿜는다. 디메틸트립타민(DMT) 환각제 계열인 이 화합물은 '마법
버섯
'이 갖고 있는 환각 물질인 사일로사이빈과 단백질 구조가 유사하다. 사일로사이빈이 일부 사람들의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가 그동안 이뤄졌지만 어떤 원리로 가능한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 ...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남비(Neonothopanus nambi)의 유전자 4개를 추출해 담뱃잎과 담배 나무 꽃에 이식했습니다.
버섯
은 유전자 4개가 각각 만드는 4가지의 효소를 이용해 카페익산을 루시페린으로 전환시킵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효소가 카페익산을 루시페린으로 전환시키고 세 번째 효소가 루시페린을 산화시켜 빛을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03.16
성별을 바꾼다는 사실 자체는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닙니다. 성별을 바꾸는 산호로는
버섯
산호가 이미 학계에 잘 알려져 있었어요. 문제는 성전환의 빈도였습니다. 연구팀은 해머산호가 성별을 바꾸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장기간의 관찰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관찰 결과 해머산호 ... ...
반딧불이처럼 자체발광 식물, 4월부터 미국서 팔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꽃봉오리가 반딧불이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사르키시안 박사팀은 지난 2020년에도
버섯
유전자를 식물과 재조합해 빛이 나는 담배과 식물을 만들었다. 이번에 라이트바이오가 출시하는 반딧불이 페튜니아는 그보다 최대 100배 밝은 빛을 낸다. 라이트바이오는 지난 9월 미국 농무부에서 판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