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눈물막 유지하는 '결막 술잔세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ICLR'의 구두 발표 논문으로 채택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한국
뇌
연구원(KBRI)과 공동으로 22일부터 23일까지 'DGIST-KBRI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DGIST와 KBRI가 보유한 우수기술을 수도권 기업들에게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수요기업과의 1:1 맞춤형 ... ...
악성
뇌
종양 씨앗 '전암 세포' 첫 확인…치료제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존의 암 세포 자체를 겨냥한 치료에서 벗어나 악성
뇌
종양의 근원인 전암 세포를 선제적으로 제거하면 암의 진화와 재발을 막는 정밀 맞춤형 치료를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약 연구개발(R&D)에 나섰다. 교원창업기업 ... ...
인간이 지금껏 보지 못하는 색 구현…"색맹 치료에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생성한 신호는 망막을 거쳐 대
뇌
의 시각피질에서 처리된다. 이처럼 사람은 눈과
뇌
의 상호작용으로 색채를 식별한다. 연구팀은 중간 파장에 민감한 M-원뿔세포를 자극할 경우 S-원뿔세포와 L-원뿔세포를 어떻게 활성화할지 알아보고자 했다. 나아가 M-원뿔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새로운 색을 ... ...
로봇개와 함께 달려볼까…주말 대전서 즐기는 기상천외한 과학 체험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신개념 탈모케어 '그래비티'를 체험할 수 있다. 피부에서 얻은 줄기세포로 인공 미니
뇌
를 만드는 게임을 즐기고 '하' 하고 부는 입김과 '호' 하고 부는 입김의 온도 차이를 활용한 '하호연못' 설치 예술품을 관람할 수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도 호기심 연구소에서 호기심을 자극하고 과학기술에 ... ...
비건, 하루 권장 단백질 채워도 필수아미노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식품에 풍부한 비타민 B12도 비건 식단에서 부족하기 쉬운 대표적인 영양소다. B12 결핍은
뇌
신경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독일에서는 비건들에게 보충제 등을 통한 B12 섭취를 권고하고 있다. - doi.org/10.1371/journal.pone.031488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을 활용해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평균 나이 67세 환자 12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뇌
의 기저핵을 구성하는 조가비핵에 밤다네프로셀을 이식했다. 참가자 중 5명은 한 쪽당 90만 개의 세포를, 7명은 한 쪽당 270만 개의 세포를 이식받았다. 18개월간의 추적 관찰에서 세포치료와 관련된 심각한 ... ...
뇌
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유사한 구조를 실제 반도체 소자로 구현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기술은 향후
뇌
신경 모사형 AI, 예측 시스템, 혼돈 신호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운형·김근영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의 결과는 재료 분야 ... ...
간부전 환자 위한 돼지 간 이종이식, 첫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급성으로 악화된 상태인 '급성-만성 간부전’과 간 기능 저하로 인한
뇌
질환인 ‘간성
뇌
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다. 연령은 10세부터 70세까지 다양하다. 참가자들은 총 2주간 병원에 머문다. 입원 기간 중 총 72시간 동안 돼지 간 장치를 체내에 연결한다. 환자의 혈액은 외부 장치의 돼지 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건강의 근간이 되는 에너지 환경을 이해하는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토콘드리아
뇌
지도는 초기 버전으로 수년 내에 5만 개의 복셀을 분석해 완전한 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무거워지는 생로병사라는 짐을 지고 가야 할 인생의 여정에서 미토콘드리아에 대해 새로 ... ...
"스마트폰 쓰는 노년층 인지력 저하 위험 낮다"…'디지털 치매' 가설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참여하고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두 가지 모두
뇌
에 유익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예를 들어 노년층이 GPS를 사용해 길을 찾거나 스마트폰으로 공과금 납부나 약 복용 등의 알림을 설정하는 기술을 배우며 노년층이 스스로 하기 어려운 일상 문제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