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은하에게 스페인어로 구름을 뜻하는 ‘누베’라는 이름을 붙여 2024년 1월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발표했다. doi: 10.1051/0004-6361/202347667 누베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 3억 광년 정도로 추정된다. 거리를 감안했을 때 밤하늘에서 아주 흐릿하게 보이는 누베의 전체 별 질량은 태양 질량의 ...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도요샛’ 개발자. 책과 강연으로 대중과 만나던 과학 커뮤니케이터.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을 수식하는 표현은 다양하다. 여기에 ‘과학자 출신 정치인’이라는 말이 더해질지도 모른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대거 몰려있는 대전 유성구을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한 그를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물, 그리고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것도 화학식으로 설명돼요. 화학이 물리, 생명, 천문 등 여러 과학을 연결해주는 분야라는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어요.” ‘여인형의 화학 공부’라는 제목에는 더 깊은 공부를 통해 화학에 재미를 느꼈던 자신처럼, 책을 읽는 독자들도 공부를 통해 화학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통합과학 넓히기 │ 오로라와 비슷한데 오로라가 아니다? 2015년, 캐나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모임인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는 소셜 미디어에 특이한 오로라 사진을 올렸어요. 보통의 오로라 모양과 달리, 이 오로라는 보랏빛의 긴 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마치 울타리가 ...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삼각법의 역사를 연구하던 브루멜렌 교수는 1440년대 이탈리아의 궁정 점성가이자 수학, 천문학 교수였던 지오반니 비안키니의 논문에서 소수점을 발견했다. 비안키니는 행성의 위치와 움직임을 계산하기 위해 삼각법을 사용했는데,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삼각함수를 계산한 표를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어찌된 일일까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우주과학 전문가,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월 28일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먼저 동료 평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한국 동료 평가의 문제는 연구자의 수가 너무 적어 평가에 참여할 연구자도 한정적이라는 것”이라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자연스레 과학으로 옮겨갔고, 우주의 비밀을 파헤치는 일이 너무 멋져 보여서 물리학자, 천문학자를 꿈꿨죠. 수학과 과학 자체에 큰 재능은 없었던 것 같지만 그 과목들은 꽤 재밌었고, 첫 대학도 물리학과에 진학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물리학을 별로 열심히 공부하진 않았어요. 이후 방황하는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결코 볼 수 없는 사진이기도 합니다. 우리은하의 셀카인 셈이죠. 안드로메다에 사는 천문학자가 본 우리은하는 어떨지 가끔 궁금합니다.”지금 우리 인간은 바다에 살지 않는다. 땅에 산다.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은 이들이 물론 많지만, 그들조차 바다의 속보다 위에서 보내는 시간이 훨씬 길다.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분류됐습니다. 지상의 나무처럼 생겼다는 게 그 이유였습니다. 그러다가 18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당시 최신 기술이 집약된 기계 ‘현미경’으로 산호를 관찰해 산호가 식물이 아닌 동물이란 사실을 밝혔습니다. 허셜이 살아가던 18세기에도, 그리고 오늘날에도 과학의 발전 덕에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또한 암흑물질을 밝히는 연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책임연구원은 “질량은 갖지만 관측되지 않는 암흑물질이 아주 작은 블랙홀일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며 “직접적으로 연결 짓긴 어렵지만 암흑물질의 실마리로 연결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