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결코 볼 수 없는 사진이기도 합니다. 우리은하의 셀카인 셈이죠. 안드로메다에 사는 천문학자가 본 우리은하는 어떨지 가끔 궁금합니다.”지금 우리 인간은 바다에 살지 않는다. 땅에 산다.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은 이들이 물론 많지만, 그들조차 바다의 속보다 위에서 보내는 시간이 훨씬 길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통합과학 넓히기 │ 오로라와 비슷한데 오로라가 아니다? 2015년, 캐나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모임인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는 소셜 미디어에 특이한 오로라 사진을 올렸어요. 보통의 오로라 모양과 달리, 이 오로라는 보랏빛의 긴 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마치 울타리가 ... ...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은하에게 스페인어로 구름을 뜻하는 ‘누베’라는 이름을 붙여 2024년 1월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발표했다. doi: 10.1051/0004-6361/202347667 누베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 3억 광년 정도로 추정된다. 거리를 감안했을 때 밤하늘에서 아주 흐릿하게 보이는 누베의 전체 별 질량은 태양 질량의 ... ...
- [이달의 과학사] 갈릴레오 갈릴레이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달을 관측한 뒤 달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이처럼 갈릴레이는 천문학이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위성 4개를 합쳐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갈릴레이가 고안한 천체망원경 또한 갈릴레이식 망원경이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생전 ... ...
- [과학 용어] 요소/태양풍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요소는 우리가 오줌으로 배출하는 물질 중 하나야. 그냥 버리는 노폐물인 줄만 알았는데, 알고 보면 없어서는 안 될 유용한 물질이라고 요소(尿素, Urea)고기 등 음식을 먹으면 우리 몸은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단백질을 분해해요. 이 과정에서 암모니아가 생기는데, 암모니아는 생물 내에서 독성 ...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삼각법의 역사를 연구하던 브루멜렌 교수는 1440년대 이탈리아의 궁정 점성가이자 수학, 천문학 교수였던 지오반니 비안키니의 논문에서 소수점을 발견했다. 비안키니는 행성의 위치와 움직임을 계산하기 위해 삼각법을 사용했는데,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삼각함수를 계산한 표를 ...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만 알아보는 방정식을 만든 과학자도 있다. 2013년 캐나다계 미국 천문학자 사라 시거는 생명체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는 행성의 수를 구하는 일명 ‘시거 방정식’을 발표했다. 별이 행성을 거느리려면 태양보다 크기가 크지 않고 온도도 높지 않아야 한다. 이런 별을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물, 그리고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것도 화학식으로 설명돼요. 화학이 물리, 생명, 천문 등 여러 과학을 연결해주는 분야라는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어요.” ‘여인형의 화학 공부’라는 제목에는 더 깊은 공부를 통해 화학에 재미를 느꼈던 자신처럼, 책을 읽는 독자들도 공부를 통해 화학의 ...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일렁이는 하늘은 이후의 과학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독자들은 ‘코스미그래픽’에서 천문학을 빛낸 예술의 별자리를 그릴 것이다.‘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과학’은 우리의 일상을 지탱하는 작고 단단한 요소들을 치밀하고 흥미진진하게 소개한다. 이 책의 저자 로마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믿기 어려웠어요. 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이 바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였습니다.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사용해 목성을 오랫동안 관찰했어요. 그 결과 목성 주변에 네 개의 조그마한 점이 목성 주위를 빙글빙글 도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하늘에 있는 천체가 ... ...
이전123456 다음